![]() |
![]() |
|
ⓒ 양산시민신문 |
1996년 3월 1일 군에서 시로 승격한 이후 양산시는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왔다. 신도시 조성 등으로 각종 기반시설을 확충했고, 그에 따라 인구도 폭발적으로 늘었다. 급속한 성장 탓에 지역 간 불균형 발전 등 그림자도 짙었지만, 외형적인 측면에서 양산시는 감히 ‘한수이남(漢水以南)’에서 가장 잘 나가는 도시 가운데 하나라고 자부할 수 있다.
그만큼 시민 눈높이도 높아졌다. 그리고 의식도 달라졌다. 성장만이 최고의 가치였던 과거와 달리 삶의 질 향상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이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안전에 대한 요구’다. 그 요구는 소방시설 확충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지역 정치권과 언론에서 간간이 소방인력 확충이나 웅상지역 소방서 설치 필요성을 주장했으나 일회성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 5월 웅상지역 각계각층 인사가 참여해 전담 소방서 유치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양산시가 위원회 활동을 전폭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성동은 경남도의원도 지난달 24일 열린 제363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웅상지역 전담 소방서 신설을 주장했다.
웅상지역은 인구 10만에 이르지만, 119안전센터 2곳에 소방차 9대와 소방대원 42명이 전부다. 양산소방서로부터 22km나 떨어져 있고, 천성산과 대운산 등 큰 산으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수성으로 골든타임 7분 이내 지원받기도 어렵다.
여기에 추가로 11개 아파트 단지 6천여세대가 건립 중이고, 주진흥등지구와 소주지구 도시개발사업 등으로 1만여명의 미니신도시가 조성될 예정이어서 현재 인력과 장비로는 소방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기초자치단체와 단순 비교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인구만 놓고 봤을 때 웅상지역과 규모가 비슷한 밀양시는 1개 소방서, 소방공무원 174명, 소방차 35대를 보유하고 있다.
정의당 경남도당 양산지역위원회도 양산지역 소방시설 확충을 위한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정의당은 양산시의 급속한 인구 증가에 비해 생명과 안전에 관련한 인프라 성장은 정체돼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양산소방서는 과부하상태다. 소방공무원 1인당 인구가 1천650명으로, 전국 평균인 945명의 두 배에 가깝고, 경남도내 시 단위 소방서 평균인 1천250명에도 못 미친다. 마산소방서와(1천652명) 함께 가장 열악한 환경이다. 이에 따라 정의당은 증산119안전센터와 삼호119지역대ㆍ동면119지역대 설립, 웅상지역 구조공작차 확충과 운용인력 파견 배치를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양산지역 소방시설 확충은 정치권의 주요 선거공약이었다. 하지만 그때뿐, 돌아오지 않는 메아리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이전에는 마음만 있을 뿐 설익은 느낌이었다면, 이번에는 뭔가 열매가 무르익는 모습이다. 때마침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있다. 양산시민의 요구가 결실을 볼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아울러 소방대원의 국가직 전환을 응원한다. 이 문제에 대해 여야가 큰 틀에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지만, 식물국회에 발목을 잡혀 있는 데다 자유한국당 내부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와 국회 문턱을 넘을지 미지수다.
우리가 소방시설 확충을 요구하는 이유는 재난상황에서 소방대원이 우리를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소방대원이 어려움이 처했을 때 국가가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을 줘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