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회에서는 이들 3개 시ㆍ도가 체결한 소방응원협정에 따라 재난환경에 맞춘 실무 사항을 논의했다. 특히 이날은 동남권 광역 재난에 선제 대응하고 시ㆍ도별 부족한 소방력을 신속히 동원할 수 있도록 했다.
협의회가 양산에서 열린 이유는 양산의 경우 부산, 울산과 경계를 마주하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양산시는 부산, 울산이 사실상 같은 생활권인 데다 최근 인구가 급증하면서 소방인력과 시설 부족이 심각한 지역이 됐다. 3개 시ㆍ도 광역소방 대응 체계 구축을 가장 필요로 하는 지역인 것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경남소방본부는 “이번 경ㆍ부ㆍ울 소방응원협정 회의를 통해 양산시 등 3개 시ㆍ도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난에 보다 신속한 공동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3개 시ㆍ도 소방응원협정이 동부양산(웅상)지역 소방서 신설로 이어지게 될지 시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양산지역의 경우 35만 가까운 인구에 비해 소방서는 1곳뿐이어서 그동안 소방시설 부족 문제가 꾸준히 거론돼 왔다. 특히 동부양산 경우 인구 규모가 비슷한 밀양시와 비교해도 열악한 상황이다. 실제 웅상지역과 인구 규모가 비슷한 인근 밀양시와 소방 역량을 비교하면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현재 양산지역 소방시설은 과부하 상태다. 전국 평균은 물론이고 경남 소방공무원 1인당 평균인 945명에 미치지 못하며, 경남도내 시 단위 평균인 1천250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1천650명 수준으로 마산소방서 1천652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