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지난해부터 창원과 진주, 김해시와 함께 경남도 강소특구 지정에 도전했다. 강소특구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산학단지(0.54㎢)와 현재 추진 중인 동면 가산산업단지(0.67㎢)에 특구를 조성, 연구개발과 사업화는 물론 재투자 거점으로 삼아 지역 산업 부가가치를 높이고, 미래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특히, 대통령 공약인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의 배후 산단 기능을 함으로써 지역 미래 산업 성장 토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강소특구 지정에 실패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9일 경남지역 4개 신청 도시 가운데 양산시를 제외한 3개 도시를 강소특구로 지정했다.
이우식 양산시 양방항노화과장은 지난 13일 양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시의원들이 사업 탈락 사유를 묻자 “배후 산단으로 지정된 가산산단 추진이 좀 늦어지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더불어 “전호환 부산대 총장이 양산캠퍼스를 매각해 사업비로 투자하겠다고 말을 던졌는데, 알고 보니 관련 법 개정이 언제 될지 알 수 없는 부분이라서 그런 점들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집행부 노력이 부족했던 것은 아니냐는 질문에는 김진홍 양방항노화산업국장이 직접 나서 “많이 노력했고, 부산대 교수들을 직접 많나 사업 수정도 계속했다”고 해명했다. 김 국장 역시 “전호환 총장이 말한 부분은 관련 법 개정이 오래 걸리는 내용인데, 너무 강력하게 말하는 바람에 오히려 위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며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고 대안을 제시하면 8월 재신청 때 통과시켜주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양산시 강소특구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첨단산학부지와 가산산단 등 모두 1.21㎢ 부지에 바이오ㆍ헬스케어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첨단산학부지에는 양산부산대병원 등 의ㆍ생명과 관련한 시설과 연구기관을 집중하고 가산산단에는 의료기기와 웨어러블(Wearable), 생체 재료기술, 정밀 의료로봇, 생체의료용 신소재 등 관련 산업 생산시설을 유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