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붉은 수돗물 사태, 양산시도 안전 장담할 수 없다..
사회

붉은 수돗물 사태, 양산시도 안전 장담할 수 없다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9/07/09 10:05 수정 2019.07.09 10:05
노후 배관 많은 원도심 중심으로
양산도 붉은 수돗물 언제든 발생
단계적 배관 교체 서두를 필요

최근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붉은 수돗물이 쏟아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다른 지자체들도 수질사고 위기 때 체계적 대응을 위한 긴급조치와 단계별 행동 지침을 전달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동안 양산시와 다른 지자체들은 수돗물 품질이 일반 생수와 비교해서 전혀 부족함이 없다고 강조해 왔다. 서울시는 ‘아리수’라는 먹는 수돗물 제품을 오래전 개발했고, 부산시도 ‘순수 365’라는 이름의 먹는 수돗물을 몇 해 전 선보였다. 양산시 역시 국내 최고 수돗물 품질을 자랑하며 가정 수도꼭지에서 바로 물을 마셔도 된다고 자랑해 왔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입장이 난처하게 됐다. 대책 마련에 나선 서울시는 수돗물을 각 세대에 공급하기 전 저장하는 ‘저수조’를 붉은 수돗물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물은 저장을 하면 썩을 수밖에 없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저수조를 모두 없애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저수조 업계에서는 “이번 붉은 수돗물 사건과 저수조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며 “오히려 저수조는 불순물을 침전시켜 정화 기능을 한다”고 반박했다.

ⓒ 양산시민신문

실제로 저수조는 <수도법 시행령>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인 경우 1년에 두 차례 이상 청소를 해야 한다. 저수조업자들이 “저수조는 붉은 수돗물의 원인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양산지역도 저수조 청소 의무 건물이 공공기관 포함 약 860곳에 이른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도 이번 붉은 수돗물 사고는 저수조보다 노후 상수도관 개량 과정에서 사전 대비와 초동대처 미흡 등 여러 문제점이 복합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낡은 수도관 때문에 붉은 수돗물이 검출됐다면 양산지역도 언제든 붉은 수돗물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양산시상하수도사업소에 따르면 다행히 양산지역에서는 붉은 수돗물 발생이 신고된 게 없다. 하지만 행정기관에 신고하지 않았을 뿐, 붉은 물 유출 자체가 없다는 건 아니다. 실제 북부동 한 6층 건물 경우 몇 해 전 붉은 수돗물이 나와 건물주가 배관 공사를 진행한 바 있다. 공사 결과 낡은 배관이 문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양산시는 “이번 사건은 배관이 낡아서 그런 것보다 공사 과정에서 가둬놨던 물을 갑자기 배출하면서 그 압력으로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찌꺼기가 수도관으로 배출된 것”이라며 “좀 더 신중하게 작업을 했더라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낡은 배관은 순차적으로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우리 지역에서는 붉은 수돗물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정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