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은 지난 10일 양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시철도 2호선 연장에 대해 노선 재조정을 요구했다.
ⓒ 양산시민신문 |
현재 서2동은 부산도시철도 2호선을 연장해 양산도시철도 종합운동장역(예정)과 연결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문제는 연장 노선이 높이 9m가 넘는 교량 형태로 마을을 스치듯 지난다는 점이다. 일부 주택은 교량과 불과 2~3m 간격이라 생활이 사실상 힘들다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기자회견에 앞서 지난해 8월 김일권 양산시장을 면담하고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시행해 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 주민들은 첫 번째 환경영향평가 때 서2동을 포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시장은 주민 요구를 충분히 반영해 다시 환경영향평가를 하라고 지시했고, 최근 그 결과가 나온 상태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번 환경영향평가 재조사 때도 마을 피해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서 주민들이 제시한 ‘공사시 정온시설 현황’에 따르면 양산도시철도 전체 11.43km 구간에는 모두 24곳의 정온시설(소음이나 진동 등으로부터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시설)이 선정됐는데 서2동은 빠져 있다. 대신 서2동 과 인접한 양주초등학교, 자연유치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민들은 “양산도시철도는 물론이고 도시철도 2호선 연장노선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우리 마을은 정작 정온시설에서 배제됐다”며 “이런 대책 없는 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겠다고 하는데, 이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도시철도 2호선 연장 대신 양산역에서 종합운동장역까지 자동보행로(무빙워크)를 설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주민들은 기자회견 이후 김 시장과 면담도 진행했다. 시장 면담에서 주민 의견을 반영하겠다던 과거 약속이 이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담당 공무원 사과를 요구했다. 주민들 주장에 김 시장은 새로 한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서2동이 빠진 게 사실인지 물었다. 이에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한 업체는 “서2동을 정온지역으로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마을 주민들이 요구한 장소에서 예상 피해 여부를 측정해 환경영향평가에 반영했다”고 해명했다.
ⓒ 양산시민신문 |
김 시장은 “개인적으론 나 역시 그 노선(2호선 연장)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며 “하지만 지금은 주민 불편을 해소하는 게 가장 중요한 문제인 만큼 보상을 비롯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도록 지시하겠다”고 다시 한번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