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열린 공청회는 공사 기간 3년 연장에 대해 주민 이해를 구하는 자리였다. 하지만 주민들은 3년 연장에 대한 비판은 물론 토지 보상에 대한 불만과 공사 피해 등을 주장하며 노선 변경까지 요구했다.
부산교통공사는 “공사 절대 공사 기간 확보를 위해 3년 연장할 수밖에 없다”며 “사업 승인 등 행정 절차가 예정보다 늦어졌고, 2공구 사업자 선정이 몇 차례 유찰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부산교통공사 설명은 토론자들조차 이해시키지 못했다. 이용식 양산시의원(자유한국, 중앙ㆍ삼성)은 “공사 기간 연장 소식을 사전에 전혀 보고받지 못했다”며 “우리(시의회)도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자세한 보고를 받지 못하다 보니 시민이 아는 것과 실제 사업 추진 내용에 차이가 있다”며 “이는 시민 알 권리 침해”라고 비판했다.
문신우 양산시의원(민주, 중앙ㆍ삼성)은 “공청회를 하면서도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려는 의지가 사실상 없다”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그는 “지금 이 자리에 참석한 사람만 봐도 1/3이 공무원”이라며 “공청회 내용도 정작 주민들이 궁금해하는 보상과 피해 대책에 대해서는 전혀 이야기하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어진 주민 간담회에서는 노선을 아예 변경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다. 정민곤 서2동 도시철도피해주민대책위원장은 “지금 노선이 마을을 지나며 교각이 일부 주택을 스쳐 지나갈 정도”라며 “무엇보다 현재 노선이 과연 광역도시철도계획에 적합한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처음 도시철도 계획은 광역교통망에 따라 양산시청에서 남양산역으로 이어져 2호선과 연결, 이후 북정과 상북, 하북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며 “고작 고무바퀴 2량짜리 경전철이 광역교통망으로서 도시철도 계획에 적합한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정천권 국지도60호선 정상화추진시민연대 위원장도 현재 양산도시철도 노선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지도60호선도 애초 계획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노선으로 변경했는데 도시철도 역시 마찬가지”라며 “정치권 입김으로 이렇게 바뀌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부산 노포동 주민 역시 “현재 노선 바로 인근에 국ㆍ공유지가 많은데 왜 굳이 내 땅을 수용하려고 하느냐”며 “대안이 있는데도 국가사업이라는 이유로 개인에게 희생을 강요하지 말라”고 말했다.
이처럼 노선 변경을 요구하는 주민 목소리가 높아지자 공청회를 준비한 부산교통공사에서도 적잖이 당황하는 모습이었다. 앞으로 공사 과정에서도 주민 반대가 극렬할 것으로 예상되자 결국 부산교통공사는 “철저한 공정관리로 준공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주민 요구사항들은 차후 검토해보겠다”는 원론적인 답변으로 공청회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