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 규제 조처 이후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하는 모습이다. 특히, 시민단체나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했던 과거 불매운동과 달리 개인 중심 불매운동이 확산하면서 오히려 시민ㆍ소비자단체가 합세하는 형국이다.
양산지역도 불매운동 불길이 점차 타오르고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회관계망(SNS)을 중심으로 ‘NO, BOYCOTT JAPAN’을 선언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여기에 각종 단체 대화방(커뮤니티)에서도 일본 제품 불매운동 동참 선언과 함께 조직적 차원에서 불매운동을 펼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 경우가 양산시약사회다. 약사회 소속 일부 약국이 일본 제품 불매와 함께 일본 의약품을 판매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약사회장을 맡고 있는 이재휘 약사(온누리한사랑약국)는 지난 19일부터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하기로 했다. 대체 의약품이 있는 경우에 한해 일본산 의약품도 판매하지 않는다.
이 약사는 “반일 차원이 아니라 이번 불매운동은 부당한 행위에 대한 저항”이라고 말했다. 이 약사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이번 일본의 부당한 행위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으로 그들의 행위가 얼마나 부당한 것인지 경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일본 제품을 불매하는 것과 관계없이 대체 의약품이 있는 경우만 일본 의약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 |
ⓒ 양산시민신문 |
양산시약사회 총무부회장인 변필임 약사(서린프라자약국)도 불매운동에 동참했다. 변 약사는 “고객이 일본 의약품을 요구할 때 해당 제품이 일본산임을 안내해서 본인이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며 “많은 분이 일본산 의약품인 걸 모르고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약사와 변 약사는 약사회 소속 다른 약국에도 동참을 권하고 있다. 다만, 약사회 차원에서 조직적인 불매운동을 전개하는 문제는 아직 검토한 바 없다고 덧붙였다.
공무원 사회에서도 불매운동 동참 의견이 나오고 있다. 공무원노조 양산시지부 홈페이지에는 “노조 차원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하자”는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 작성자는 “대한민국 공무원으로서 우리 시 공무원노조가 우선적으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라고 제안하며 “노조 차원에서 모든 직원 동참을 유도하고. 나아가 시민까지 동참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해당 글에는 ‘찬성한다’는 댓글과 함께 가급적이면 일본 여행도 자제하자는 의견이 줄을 이었다. 양산시청 내 매점에서 일본 제품을 철수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처럼 개인 차원의 불매운동을 넘어 단체가 동참해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늘어나면서 앞으로 지역 시민ㆍ사회단체의 동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