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일반 소비자를 중심으로 하던 일본 거부 운동에 국내 지자체들도 가세하고 있다. 지난 5일 전국 63개 지방자치단체는 일본 물품 거래 중단과 자매결연 활동 중지를 알리는 성명을 발표했다. 서울 서대문구와 종로구, 용산구, 성동구를 비롯해 부산 북구, 사상구 등이다. 최근 밀양시와 부산 영도구 역시 각각 자매결연 도시인 야스기시, 쓰시마시에서 열리는 축제에 불참하기로 했다.
양산시는 현재 일본 지방정부와 자매결연을 한 곳은 없다. 유리혼조시와 1998년 우호교류 관계를 맺긴 했지만, 현재는 사실상 교류가 없다는 게 양산시 설명이다.
대신 양산청년회의소(JCI)가 유리혼조청년회의소와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양산청년회의소는 유리혼조청년회의소와 자매결연을 맺고 해마다 ‘한ㆍ일 교환 초등학생 사생대회’ 등을 진행하고 있다. 대회 수상자들이 상대국을 방문해 서로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형태다.
![]() |
ⓒ 양산시민신문 |
올해도 오는 23일 우리나라 초등학생 4명과 청년회의소 회원 8명이 일본을 방문한다. 양산청년회의소는 “분위기가 그렇다 보니 방일 일정에 대해 계속 회의를 반복했고, 특히 학부모들과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며 “결국 순수 민간 교류이고 아이들 기대가 큰 만큼 계획대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오는 11월에는 유리혼조시 학생들이 양산시를 방문할 계획이다.
일반 소비자나 지자체와 달리 기업들은 일본 제품 거부 운동에 적극 나서지 못하는 모습이다. 소비재 대부분이 기업 운영 필수 부품이다 보니 일본 제품을 거부할 경우 대체재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 기업 관계자는 “일본 제품 거부는 사실상 어렵고, 오히려 일본이 수출을 규제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부품 수급 대체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아직은 재고 물량으로 버티고 있지만 오래가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회사 차원에서 일본 보이콧은 어렵지만 직원 개개인은 일본 제품 구매 거부나 일본 여행 안 가기 등으로 동참하는 경우는 많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