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에 따르면 일본 수출규제로 피해를 봤거나 피해 가능성이 높은 업체는 90여곳으로 예상된다. 주로 스테인리스강선 등 금속ㆍ기계 관련 수입업체들이다.
이에 양산시는 세관 등을 통해 대일 의존 품목 수입 기업에 대한 정보 파악에 나섰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 대체 수입선이나 국산 대체재 확보 등 기업에 맞춤형 정보 제공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방문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하고 일자리경제과에 ‘무역규제에 대한 피해신고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양산시는 양산상공회의소와 양산세관, 각 산단협의회와 함께 ‘민관합동 수출규제 대응 비상대책반(TF)’을 구성해 일본 부품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에 대한 대응책도 모색한다. 피해 기업 규제를 위한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추가 편성하고, 지방세 징수유예 등 다양한 기업지원 대책도 추진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일본 수출규제 강화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소재ㆍ부품산업 자립화도 지원한다. 지난 7월 개관한 첨단하이브리드생산기술센터를 소재부품 산업 연구지원시설로 활용해 5년 동안 15억원을 투입한다. 지역 기업 소재부품산업 기술고도화와 함께 향후 국ㆍ도비 추가확보 등 기업들의 대일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품목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양산시 일자리경제과는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처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 사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지만 시차를 두고 피해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피해 기업 파악과 맞춤형 지원에 총력을 다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