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만3천505곳을 조사했는데 이 가운데 6천871개 건물이 최소 1가지 이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경남지역 전체에서 적발한 중대 위반 7건 가운데 2곳이 양산지역으로 나타나 앞으로 더욱 철저한 화재안전 조처가 필요해 보인다.
경남지역 전체를 살펴보면 소방과 건축, 전기, 가스 등 모두 3만3천718건을 적발했다. 이 가운데 개선 유도는 3만3천711건(99.98%)이며, 중대 위반은 7건(0.02%)이다.
양산의 경우 전체 871곳을 조사했다. 이 가운데 ‘불량’ 등급으로 판정받은 경우가 510곳으로 불량률은 58.5%에 이른다. 경남지역 전체 불량률 50.9%보다 높은 수치다. 불량 판정 510곳 가운데 화재안전과 직결하는 위반사항 즉, 중대 위반 은 2곳으로 조사됐다. 불량 적발 건수로는 2천38건이며, 이 가운데 2건이 중대 위반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중대 위반은 소방시설 고장방치, 무허가 위험물 저장, 건축물 방화구획 심각한 훼손 등이다. 개선 유도는 자동으로 작동해야 할 소방시설 전원을 꺼두거나, 비상구에 말발굽을 설치한 경우 등이다.
비상통로에 물건을 쌓아두는 행위도 적발했다. 이 밖에도 ▶불법 증축과 방화문 불량 ▶누전차단기 배선 손상 ▶규격 전선 미사용 ▶배전반 덮개 탈락 ▶나사 조임 불량에 따른 발열 ▶가스누설 차단 장치 미설치 또는 고장 ▶가스 배관 도색 불량 ▶주차장 물건적재 등이 문제로 손꼽혔다.
시설별 불량률은 의료시설이 90.5%, 판매시설 80.0%, 업무시설 64.5%, 숙박시설 59.9%로 나타났다. 의료시설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많은 특성상 화재 때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경남도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중대 위반 7곳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4건)와 입건(2건), 기관 통보(1건) 조처했으며, 법적 조치 후 30일 이내 보수ㆍ정비하도록 했다. 개선 유도에 대해서는 합동조사단 전문가 자문을 받아 시설을 개선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