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초와 백동초, 상북초, 하북초, 원동초, 화제초 등 원도심 6개 학교에서 운영 중인 ‘창의놀이교실’이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창의놀이교실은 원도심 학생 수 감소에 따라 늘어나는 빈 교실에 학생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공간을 구축해 다양한 놀이를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양산시는 앞으로 2022년까지 모두 20개교에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문을 연 6개 학교에서는 학교별 환경에 맞는 창의놀이교실을 조성한 뒤 전교생에게 상시 개방해 언제든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
 |
|
ⓒ 양산시민신문 |
|
|
 |
|
ⓒ 양산시민신문 |
|
양산초는 놀이와 배움이 함께하는 공간과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디자인을 활용한 창의놀이교실로 아이놀이터를 조성했고, 상북초는 2개 교실을 창의상상실과 씨앗가꿈이실로 조성해 자유로운 놀이공간을 제공했다.
|
 |
|
ⓒ 양산시민신문 |
|
|
 |
|
ⓒ 양산시민신문 |
|
하북초는 놀며 배우며 꿈꾸는 창의놀이교실에 놀이ㆍ배움ㆍ진로계발 중심의 혼자ㆍ병행놀이와 연합ㆍ협동놀이 교구를 갖췄다. 백동초는 보드, 블록 중심 창의놀이교실과 체육놀이교실을 구축해 다양하고 건전한 놀이문화를 경험하는 공간을 조성했다.
|
 |
|
ⓒ 양산시민신문 |
|
|
 |
|
ⓒ 양산시민신문 |
|
원동초는 놀이운동교실, 쑥쑥놀이터를 구성하고 교내 생태놀이환경과 연계해 숲 밧줄 놀이 등을 조성했다. 화제초는 상상력이 꿈틀대는 자유롭고 감성적인 놀이 공간을 구성해 상황에 따라 학생들이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공간 조성을 완료했다.
양산시는 이들 학교에 양산행복교육지구사업 놀이활동가 네트워크와 연계한 놀이강사를 학교별로 지원해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돌봄 시간에 전래놀이와 보드게임 방법 등을 활용하는 놀이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창의놀이교실을 이용 중인 상북초 학생은 “비가 오거나 미세먼지가 심해서 밖에서 놀기 힘들 때가 많았는데, 창의놀이교실이 생긴 뒤에는 날씨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가서 놀 수 있는 아지트 같은 공간이 생겨서 너무 좋다”며 “놀이 선생님들도 더 재미있게 노는 방법을 친절하게 잘 알려 주셔서 학교 오는 게 즐겁다”고 말했다.
양산시는 “올해 처음 시작한 창의놀이교실 사업이 학생들의 놀 권리 충족에 보탬이 된 것 같다”며 “창의놀이교실 대상 학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내년에도 더 내실 있는 사업이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