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의회(의장 서진부)가 지난 2017년 8월 열린 경상남도 생활체육대축전에 대한 행정사무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양산시체육회가 집행한 예산 가운데 상당 부분이 증빙 서류가 없거나 절차에 맞지 않는 등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양산시체육회 자체 감사에서도 지적한 부분이다.
양산시의회는 지난 12일 당시 생활체육대축전 T/F팀 공무원들과 체육회 관계자 등을 불러 예산 집행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파헤쳤다.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생활체육대축전 폐막 이후 일종의 포상휴가 차원에서 떠난 ‘운영평가 워크숍’이다. 당시 양산시체육회는 A 고속관광업체와 계약을 맺어 3천500만원의 예산으로 30명이 제주도로 워크숍을 다녀왔다.
그런데 지난해 양산시체육회 자체 감사와 이번 행정사무조사 결과 실제 워크숍을 떠난 인원은 30명이 채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자체 감사에서는 21명만 참석한 것으로 조사됐고, 행정사무조사에서는 최대 23명 수준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참석 인원을 ‘추정’하는 이유는 관련 서류가 없기 때문이다. 양산시체육회가 양산시의회에 제출한 증빙서류는 회의 모습을 담은 단체 사진 1장과 워크숍 일정을 담은 계획서 1장뿐이다. 심지어 워크숍에 참석한 공무원과 체육회 관계자 모두가 “정확한 참석 인원을 알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정확한 참석 인원조차 모르는 상황에서 예산은 계획대로 30명에 대한 금액을 모두 집행했다. 참석 인원이 30명이 미치지 않을 경우 불참한 인원에 대한 예산은 정산해야 하는데, 양산시체육회는 30명 모두 참석한 것으로 처리한 것이다.
워크숍 일정도 계획대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계획서에는 스쿠버다이빙, 사격, 해양레저, 요트, 승마, 열기구 투어 등 다양한 체험이 담겼지만, 실제 이런 체험은 하지 않았다. 양산시체육회 자체 감사에서는 일부 직원이 고급 식사와 유흥비로 예산을 사용한 것도 확인됐다.
ⓒ 양산시민신문 |
워크숍 계획을 세운 시점도 논란이다. 생활체육대축전은 2017년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열렸다. 대회가 끝나고 한 달 안으로 보조금 정산을 끝내야 한다. 계획했던 모든 예산을 다 집행하고 정산 보고서까지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양산시체육회는 10월 말까지 보조금 정산을 하지 않았다.
오히려 11월 2일에 애초엔 계획하지 않았던 워크숍 계획을 세웠다. 양산시체육회 의뢰를 받은 A 고속관광은 11월 20일 여행계획서를 제출했다. 양산시체육회는 30인 기준 워크숍 비용 3천500만원을 11월 24일 결제했다. 실제 워크숍은 12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 일정으로 떠났다.
생활체육대축전 보조금 가운데 남은 금액 반납도 늦었다. 워크숍 일정까지 포함하더라도 이듬해인 2018년 1월까지는 보조금 정산을 마무리했어야 한다. 하지만 양산시체육회는 그해 5월 24일에서야 남은 보조금을 반납했다. 이에 대해 당시 체육회 생활체육국장은 “특별한 이유는 없다.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 죄송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이 밖에도 생활체육대축전 백서 발간과 홍보 전단 제작 등 체육회 임원 가족이 운영하는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거나, 사업비가 2천만원이 넘어 수의계약을 할 수 없는데도 수의계약을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처럼 양산시체육회가 약 12억원에 이르는 생활체육대축전 보조금을 허투루 쓰는데도 관리ㆍ감독해야 할 양산시는 책임을 미루기 바빴다. 당시 체육지원과장은 “우리는 계획대로 보조금을 지급하고, 실제 사용이나 관리 정산은 체육회에서 하는 것”이라며 “무엇보다 대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것에만 신경을 쓰다 보니 예산 사용에 대해서는 제대로 신경 쓰지 못했다”고 말했다.
문신우 행정사무조사위원장(민주, 중앙ㆍ삼성)은 “보조금 지급 절차는 세금계산서 등 모든 서류가 다 접수돼야 지급하는데 체육회는 관련 서류를 제출하기도 전에 지급됐다. 이런 사례가 한두 건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정석자 의원(민주, 동면ㆍ양주)은 “애초 200만원이었던 뒤풀이 예산을 3천500만원으로 늘리려면 사전에 예산지출변경 신청이라도 해야 했는데 그마저 없었다”며 “생활체육대축전 보조금을 이렇게 썼다면 그동안 들어간 다른 보조금은 어떻게 썼을지 걱정”이라고 비판했다.
임정섭 의원(민주, 물금ㆍ원동)은 “앞으로 일감 몰아주기나 투명하지 못한 예산 집행은 반드시 개선해야 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체육회가 관변단체 이미지를 벗어나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