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올해 경기 침체 장기화로 큰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정착자금 1천450억원을 편성해 11월 1일 기준 소상공인 4천946명에게 1천347억원을 지원했다”며 “인터넷 예약제 도입과 찾아가는 상담 등 획기적인 제도 개선으로 서비스 질을 높여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보증사업 평가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거뒀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경남도는 내년을 민생경제의 중요한 고비이자 마지막 보릿고개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정책자금 지원은 높이고 부담은 줄여 현장 체감도를 더욱 끌어올리겠다는 입장이다.
경남도는 정책이 때를 놓치면 더 많은 재정을 투입하고도 효과를 내기 어렵다고 판단, 내년 소상공인 정책자금 규모를 1천500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남신보 출연금을 30억원에서 40억원으로 늘린다. 급증하는 소상공인 자금 수요에 대응해 지역 신보의 보증 공급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또한 경남도 금고 은행인 NH농협은행과 경남은행으로 한정했던 취급 은행도 소상공인 이용 편의를 위해 제1금융권으로 확대한다. 지역 소상공인들이 올해 정책간담회에서 건의했던 보증 수수료 지원도 일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ㆍ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에 한해 신용보증 이용 때 보증 수수료를 일부(0.2~0.3%) 지원할 계획이다.
김기영 경남도 일자리경제국장은 “올해는 자금 규모 확대와 소공인 등 수요자 맞춤형 자금 지원을 위해 노력한 해”라며 “도민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기가 나아지도록 내년까지는 투자를 확대하고 금융 부담을 완화하는 데 더욱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경남도는 지난해 1천100억원에서 350억원 늘어난 1천450억원을 소상공인 정책자금으로 지원했다. 더불어 고용산업위기지역 지정 연장을 계기로 일반자금 100억원을 추가 공급, 추석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지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