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이번 35만 인구 돌파를 50만 자족도시를 향한 긍정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신도시 조성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던 인구가 최근 들어 잠시 주춤했고, 지난 5월부터는 소폭이나마 인구가 감소하는 모습까지 보였던 터라 이번 35만 돌파를 특히 반기는 모습이다.
실제 인구 증가는 지자체 성장과 직결하는 문제다. 인구가 늘어난다는 것은 곧 세수 증가와 연결된다. 세금이 늘면 예산이 많아지고, 예산이 많아지면 다시 시민을 위한 투자가 늘어나는 선순환이 발생한다.
특히, 도시경제학 전문가들은 지자체 인구가 50만을 넘어설 경우 자체적으로 생산과 소비가 순환하는, 즉 ‘자급자족형 도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양산시가 50만 중견 자족도시 구현을 정책 중심에 두는 이유다.
![]() |
↑↑ 35만 번째 양산시민이 된 조민건(40) 씨 가족. |
ⓒ 양산시민신문 |
하지만 인구 35만 돌파와 함께 과연 50만 중견도시 양산에 필요한 기본 시설이 잘 갖춰지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신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하다 보니 예전에는 느껴본 적 없는 불편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출ㆍ퇴근 시간 차량 정체를 비롯해 부족한 문화시설, 대중교통 불편, 농촌과 도시ㆍ원도심과 신도시 격차 등이 모두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 때문에 단순히 인구 증가를 목표로 할 게 아니라 그보다 먼저 생활 곳곳의 불편을 해소하고 시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조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행정에서도 공감하는 지적이다. 김일권 양산시장은 지난달 28일 열린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총회에서 “새로운 인구 유입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렇게 들어온 인구가 다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젊은 세대가 아이를 데리고 어디든 움직일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 있어야 한다”며 “더불어 양산시 복지가 다른 곳보다 나아지고 있다는 기대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시장은 “직장을 이유로 양산을 떠나는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청년지원팀을 신설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자녀 교육과 수준 높은 문화ㆍ여가를 누리고자 하는 시민을 위해 각종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등 세대별 맞춤형 인구정책을 꾸준히 발굴ㆍ추진할 것”이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