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석 국회의원(자유한국, 양산 갑)이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 일부를 민간에 매각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지난 26일 양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유재산법>을 일부 개정해 국립대학교 부지 일부를 민간에 매각하고, 해당 매각 대금을 다시 캠퍼스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나머지 대학 부지 역시 지방자치단체가 공익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양여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법 개정을 통해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 일부(약 17만㎡)를 민간에 매각하고 해당 자금을 다시 양산캠퍼스 개발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현재 양산캠퍼스는 전체 면적 110만6천138㎡ 가운데 31%인 34만149㎡만 활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76만5천989㎡가 미개발 상태로 남아있다”며 “오랜 시간 다양한 개발이 추진돼 왔지만 대통령 공약사항인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조차 첫 삽도 뜨지 못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윤 의원은 “국비에만 의존해서는 개발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 우선 첨단산학단지 일부를 민간 매각해 약 3천억원을 유치하는 방안을 고민했다”며 “민간 매각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이거나 앞으로 추진 예정인 사업을 포함하면 약 5천7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투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 <국유재산법>에 따르면 양산캠퍼스를 매각할 경우 매각 대금은 전액 국고로 귀속된다. 이 경우 매각 대금이 양산캠퍼스에 재투자될지 장담할 수 없다. 이에 윤 의원은 법률을 개정해 양산캠퍼스 매각 대금은 양산캠퍼스 개발 외 다른 사업에 재투자할 수 없도록 규정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나머지 양산캠퍼스 부지도 지방자치단체(양산시)가 공익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 양여(讓與)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담았다. 이 경우 양산시가 양산캠퍼스 부지에 시민에 필요한 시설을 지을 수 있게 된다.
![]() |
↑↑ 윤영석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부산대 양산캠퍼스 개발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윤 의원은 앞으로 민간 매각 대금을 포함해 모두 5천7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올해부터 신입생 168명이 입학하는 정보의생명공학대학(총 사업비 285억원)을 비롯해 ▶경상대 동물병원과 융합바이오센터(총사업비 276억원) ▶천연물 안전센터(총사업비 288억원) ▶생명환경연구센터(총사업비 298억원) ▶인공지능융합의료기술센터(총사입비 295억원)를 현재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올해 교육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으로 진행 중인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최소 500억원)까지 유치하면 300개 스타트업 기업이 입주, 1만여개 이상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부산대학교에 대한 시민 불신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다. 그동안 양산시와 정치권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를 비롯해 다양한 사업을 양산캠퍼스에 추진하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매번 부산대측의 반대 또는 비협조 무산됐다. 이 때문에 다수 시민이 양산캠퍼스를 매각해 마련한 자금이 다시 양산캠퍼스 개발에 제대로 투자될 수 있을지 의심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윤 의원은 “매각한 땅은 지자체(양산시)에서 도시관리계획으로 용도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부산대에서 매각 대금을 허투루 쓸 수는 없을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저와 부산대, 양산시가 함께 기자회견 등을 통해 약속하는 방법도 고민해 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