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환 부산대 총장이 최근 양산캠퍼스 부지 일부를 민간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윤영석 국회의원(자유한국, 양산 갑) 역시 <국유재산법>을 개정해 민간자본 유치 길을 열겠다고 말했다. 학문의 공간이 조성되길 바랐던 시민 바람과는 다소 다르지만, 이미 십수 년 이상 황무지로 방치돼 온 양산캠퍼스를 이런 방식으로나마 개발한다면 ‘차선책’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민간자본 유치 이전에 양산캠퍼스 개발이 왜 지금까지 난항을 겪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하게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양산캠퍼스 미개발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지 않는다면 민자를 유치하더라도 또다시 개발이 지지부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양산캠퍼스는 전체 면적이 110만6천138㎡에 이른다. 양산캠퍼스는 대학단지(33만2천758㎡)와 병원단지(23만1천㎡), 첨단산학단지(39만349㎡), 실버산학단지(15만2천31㎡)로 나뉜다. 이 가운데 31%에 해당하는 병원단지와 대학단지 일부(34만149㎡)만 개발이 이뤄진 상태다. 2003년 첫 개발을 시작했으니 16년 동안 전체 부지의 2/3 이상이 황무지로 방치돼 온 셈이다.
황무지로 방치한 가장 큰 책임은 부산대에 있다. 부산대는 애초 양산캠퍼스 조성 당시 약속했던 ‘공과대학 이전’부터 이행하지 않았다. 공과대학 전체 이전은커녕 1개 학과(부)조차 옮겨오지 않았다. 약학대학 이전도 무산됐다.
내년에 신입생을 받는 양산캠퍼스 내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역시 신입생 상당수가 장전캠퍼스에서 교육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대측은 학내 구성원 반발과 장전캠퍼스 인근 상인들 반대를 캠퍼스 이전 약속을 지키지 않은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 |
ⓒ 양산시민신문 |
양산캠퍼스 내 특성화고등학교 설립 무산 역시 부산대의 비협조가 가장 큰 이유다. 지난 2017년 경남도교육청과 양산시, 윤영석 국회의원실, 부산대는 양산캠퍼스에 특성화고를 설립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던 특성화고를 양산캠퍼스 안에 설립하자는 의견이 나왔고, 이를 위해 4개 기관에서 1년 가까이 논의를 거듭해 온 것이다. 양산캠퍼스 내 특성화고 부지와 경남도교육청 소유 진주 과학기술대학교 부지를 교환하는 방식이었다. 결론적으로 부산대측이 땅값 등을 이유로 맞교환을 거부했고, 계획은 백지화됐다.
이 밖에도 증산(가촌)신도시 주민 숙원 가운데 하나인 캠퍼스 관통 도로 역시 부산대가 학생 안전과 캠퍼스 단절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어 사업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임시주차장을 만들 때나, ‘시민 건강 숲’을 조성할 때 역시 사업 초반 부산대 비협조로 상당히 애를 먹었다는 게 공무원들 증언이다.
이처럼 양산캠퍼스 개발에 부산대는 상당한 걸림돌이 돼 왔다. 때론 학내 구성원 반대를 이유로, 때론 비싼 땅값이 이유였다. 자체적으로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서 각종 캠퍼스 개발 사업에 딴죽만 걸어온 셈이다. 이번 민자 유치 계획 역시 결과적으로 부산대가 비싼 가격으로 땅(캠퍼스)만 팔 수 있게 해주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윤영석 의원은 이러한 우려에 “캠퍼스 매각 대금은 전액 ‘양산캠퍼스 발전기금’으로 전입해 양산캠퍼스 개발을 위해 모두 사용하겠다는 확약을 부산대로부터 받았다”고 말했다. 필요한 경우 기자회견 등 방법으로 약속을 공식화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