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긴급수급조정조치에 따라
농협ㆍ우체국 쇼핑몰 등 통해
공급 늘렸지만 물량 부족 ‘품절’
지역 마스크업체 추가 생산 돌입
약국ㆍ농수산물센터에서도 판매
시간 지날수록 상황 나아질 듯
정부가 지난달 27일부터 하루 350만장의 마스크를 공적 판매처를 통해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마스크 공급 확대에도 일반 시민에겐 여전히 마스크 품귀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마스크 및 손 소독제 긴급수급조정조치>에 따라 내일부터 마스크 350만장을 농협과 우체국 쇼핑몰 등 공적 판매처를 통해 공급하겠다”며 특히 마스크 수급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와 경북 등 일선 방역 현장에도 마스크를 특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특별공급에도 마스크 구하기는 여전히 ‘하늘의 별 따기’다. 우체국과 농협 모두 아직 판매물량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이다.
|
 |
|
ⓒ 양산시민신문 |
|
우체국의 경우 읍ㆍ면 지역에서는 우체국 사무실에서 판매하지만, 물량은 절대 부족 상황이다. 매일 확보 물량이 달라지고 있어 정확히 얼마나 판매할지 예고조차 어렵다. 우체국 쇼핑몰(mall.epost .go.kr)은 더욱 심각하다. 2일 현재까지 마스크를 확보하지 못해 아예 판매를 못 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마스크 및 손 소독제 긴급수급조정조치>에 따른 공적 판매처로 지정됨에 따라 공급물량 확보를 위해 현재 제조업체와 협의 중”이라며 “이른 시일 내에 물량을 확보해 3월 초순께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덧붙여 “판매 일자 등 정확한 일정이 정해지면 언론 보도,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우체국 쇼핑몰에 사전 안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상황은 농협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27일부터 판매를 시작했지만 물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지역 내 하나로마트에서 판매하고 있지만, 물량은 마트마다 800~1천200매 수준에 그친다. 한 사람당 5장까지 구매할 수 있으니 마스크를 살 수 있는 사람은 마트마다 대략 200명 안팎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마스크 판매점에는 새벽부터 몇 시간씩 줄을 서도 마스크를 구하기 어렵다.
다행히 2일부터 양산지역 내 마스크 생산업체가 한 곳 늘어나 물량 공급도 늘어날 전망이다. 더불어 정부가 보급하는 물량도 소량이지만 조금씩 늘고 있다. 일선 약국과 양산시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에서도 마스크 판매를 시작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