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해 불가피하게 영업에 차질을 빚은 PC방과 노래연습장, 체육관, 체력단련장, 학원, 단란ㆍ유흥주점 등 다중이용시설 1만400여곳에 100만원씩 피해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1월 20일부터 사업 공고일까지 7일 이상 휴업에 참여한 다중이용시설을 파악해 5월 초 사업 공고와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지원금은 5월 안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확진자 방문으로 방역과 일시 폐쇄한 영업점에는 재개장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1천65개 점포에 일시 폐쇄 후 재개장에 필요한 비용과 홍보비 등을 점포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 |
↑↑ 경남도 코로나19 극복 민생ㆍ경제대책본부는 지난 28일 제4차 회의를 통해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한 다중이용시설의 피해를 지원하기로 했다. |
ⓒ 양산시민신문 |
이 밖에도 취약계층 고용과 생활 안정을 위해 6대 분야 470억원을 투입한다. 방역과 민생안정, 현장 실태조사, 생활ㆍ환경, 문화ㆍ관광, 농ㆍ어업 등이다.
1단계로 200억원을 즉시 투입해 모두 4천500개 일자리를 만든다. 일용직과 특수고용형태, 프리랜서 등 코로나19 실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일자리 제공사업이 대표적이다. 구조조정 실직자나 구직희망자에 대해 중소기업 전직 또는 재취업과 직업훈련을 지원하는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도 있다. 개학 연기로 사실상 실직 상태인 방과후학교 교사를 활용한 온라인 개학 학습지도 공동사업과 자가격리자 생활 불편 해소를 위한 도우미 지원사업도 진행한다.
2단계로는 추경에 270억원을 확보해 5천500개 일자리를 만든다는 목표다. 다중이용시설 방역 소독 작업,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실태조사, 취약계층 에너지 사용실태 조사, 도시재생 사업 청년 인재 양성 등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고용안정 특별대책에 포함한 저소득층과 청년 등 취약계층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새로운 일자리 발굴에도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