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국방 예산과 공무원 연차수당 등을 줄여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쓰기로 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양산지역 공직사회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국공무원노조 양산시지부 홈페이지에는 “공무원 연차수당 빼서 재난지원금을 주는 야비한 정권”, “아무런 힘도 여력도 없는 하위직 공무원 수당까지 빼앗아 가는 야비한 정권”, “(선거 때 찍어준) 손가락을 자르고 싶네” 등 다소 과격한 표현까지 주고받으며 정부를 비판하는 모습이다.
A 씨는 “총선 전에는 연가 보상비 삭감은 아니라고 하던 정권이 이제는 거대 여당이 됐다고 말도 없이 삭감하려고 한다”며 “이 정권 누가 찍어 줬나”라고 비판했다.
B 씨 역시 “코로나와 아프리카돼지열병 때문에 개처럼 일하는데도 정부는 수고한다는 말 한마디 못 할망정 인건비 깎을 생각만 한다”고 말했다.
C 씨 또한 “코로나19로 공무원들 이리저리 동원되는데 일반인에게 시간 외 수당 정도 금액으로 코로나19와 관련한 일을 하라고 하면 할까?”라며 “차출로 현장에 나가는 것도 고통스러운데 수당까지 반납하라는 건 억지”라고 지적했다.
소상공인 등 자영업자 지원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D 씨는 “이 정권에 갈수록 실망”이라며 “공무원한테 돈을 빼앗아 자영업자한테 퍼주려고만 한다. 일을 안 해야 돈을 받는 사회 구조가 정말 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반면, 고통 분담 차원에서 연가 보상비 삭감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E 씨는 “요즘 상공인들은 장사가 안돼 죽을 맛이고, 기업 근로자들은 쉬는 날이 많아 월급이 반 토막이라는 데 “철밥통인 우리만 한 푼도 손해를 안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E 씨는 “월급을 깎는 것도 아니고, 모두가 죽을 판인데 연가 보상비 좀 깎는다고 손가락을 자른다니…”라며 자신은 동의한다고 말했다.
자신을 정규직 공무원이라 밝힌 F 씨 역시 “연가 보상비 상한 15일, 돈으로 받는다면 나름 클 수도 있지만~ 이렇게까지 할 일일까”라며 “공직자가 민간인보다 사회적 소명 의식과 책임감을 느껴야 하는 건 당연한데 이곳 글을 보면 이기심만 가득한 조직 같다”고 비판했다.
F 씨는 “우리 조직이 이래서 시민에게 철밥통 소리를 듣는 것”이라며 “원래 연가는 돈으로 받는 게 아닌데 당연히 돈으로 돌려받는 걸 권리인 듯 말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