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열린 제168회 양산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같이 지적한 이 의원은 “기업에 대한 행ㆍ재정적 지원정책이 다른 지자체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우리 시의 자만이 이런 사태를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그는 “‘기업하기 좋은 도시’라는 명성은 이제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며 “이제라도 급변하는 투자 환경에 맞춰 지속해서 투자유치 제도를 발굴하고 개선해 기업이 양산에 적극 투자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양산시 기업 및 투자유치 등에 관한 조례>를 적극 활용하라고 주문했다. 조례에 따르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정되는 대규모 투자기업에 대해 예산 범위에서 양산시의회 동의를 얻어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할 수 있다. 투자금액이 1천억원 이상이거나 상시 고용인원이 300명 이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 |
↑↑ 이장호 양산시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양산시 기업지원시책의 아쉬움을 지적했다. |
ⓒ 양산시민신문 |
이 의원은 “앞서 중견기업이 다른 지역으로 둥지를 옮기는 가운데 한 번도 의회에 (기업 지원에 대해 양산시가) 동의를 구한 적 없다”며 “양산시는 이런 파격적인 조건을 기업에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웃 도시 사례도 들었다. 이 의원은 인근 김해시와 진주시를 예로 들며 다른 지역과 차별화한 지원을 강조했다. 그는 “기업 유치와 투자 확대를 위해 행정조직 개편이 시급하다”며 “현재 투자유치팀 업무는 단순한 행정 실무에 그치고, 실제 기업 유치를 위한 뚜렷한 정책 개발이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 지원도 대규모 예산이 필요한 만큼 국가 정책에 맞춰 국비와 함께 지원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 미래산업 육성ㆍ지정 정책을 미래산업팀이 담당하고 있어, 업무의 유기적 연동과 협조가 이뤄지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양산시도 행정을 넘어 금융, 법률 등 다양한 정책수단 개발이 가능하도록 민간전문가 채용 등을 고려한 기업유치단 성격의 행정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며 “더불어 제조업에 치중한 지원을 유통, 서비스업 등 모든 사업으로 확대하고 향토기업이 더 큰 도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