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가 무색하다. 경고문 바로 뒤로 보트 줄에 매달린 채 수상스키가 강물 위를 질주한다. 계류장에는 10여명의 사람이 박수와 환호성 지르며 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4~5년은 된 듯하다. 해마다 4월께면 같은 자리에 계류장이 들어선다. 물론 허가는 받지 않았다. 심지어 양산시가 관리하는 낙동강 탐방선 선착장 바로 옆이다. 단속기관 눈앞에서 불법 행위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다. 심지어 올해는 코로나19로 온 세계가 ‘일시 멈춤’ 상황이었지만, 이들에겐 그저 다른 세상 이야기일 뿐이다.
이런 불법 계류장은 물금 황산공원과 원동 화제, 용당 등 양산지역에만 4곳에 이른다. 허가를 받지 않은 시설이다 보니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칫 심각한 문제로 번질 수 있다. 행정에서 관리ㆍ감독을 하지 않아 환경오염 행위는 물론 음주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지난 3월부터 철거하라고 계고장도 보냈는데 아무런 조처가 없어서 지난달 23일 양산경찰서에 고발했다”며 “지난주 금요일(5일)에도 관계부서가 합동 단속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양산시는 “지난 금요일에는 원동 용당지역에도 계류장을 설치해 단속했고, 이달 말까지 철거를 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고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 물금 황산공원 낙동강 탐방선 선착장 인근에서 불법 수상 레포츠 영업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반면, 수상스키 등이 건전한 레포츠인 만큼 차라리 합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합법화하는 대신 행정의 관리ㆍ규제에 따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시 등 다른 여러 지자체는 몇 해 전부터 수상 레포츠 시설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상 레포츠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양산에도 수상 레포츠를 즐기려는 인구가 적지 않다. 양산시생활체육회에 정식으로 등록(관리단체)한 수상스키ㆍ웨이크보드협회 회원만 3개 클럽이다. 3개 클럽 회원 수는 52명으로 많지 않지만, 협회(동호회)에 가입하지 않고 수상 레포츠를 즐기려는 사람도 꽤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불법 상태임에도 수상스키 등을 경험하려는 사람들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양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거론됐다. 임정섭 도시건설위원장(민주, 물금ㆍ원동)은 “우리 지역에서도 수상 레포츠 동호인이 늘어나는 만큼 우리 양산시가 장기적으로 허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취수장 하류 지점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하천은 공적인 시설인 만큼 개인이 영업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맞지 않는 것 같다”면서도 “다만 (수상 레포츠 시설에 대한) 시민 요구가 있는 만큼 만약에 계류장을 만들게 된다면 행정에서 만들어 민간에 위탁하는 방안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