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김경수 도지사 “낙동강 본류 외 새 취수원 발굴 추진”..
정치

김경수 도지사 “낙동강 본류 외 새 취수원 발굴 추진”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20/07/31 15:36 수정 2020.07.31 03:36
31일 양산 신도시취ㆍ정수장 현장 점검
미량유해물질 등 취약 상수원 대책 필요
낙동강 수질 개선, 한국판 뉴딜 포함 요구
“깨끗한 물, 국민 권리이자 정부 의무”

ⓒ 양산시민신문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낙동강 본류 외 새로운 취수원 발굴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31일 양산 신도시정수장과 취수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사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그 과도기 동안 주민이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낙동강 본류 이외에 새로운 취수원 발굴을 포함한 근본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낙동강 수질 개선사업은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 영남권 5개 시ㆍ도지사가 모여 논의한 내용”이라며 “다음 달 5일 정부 (낙동강유역 통합물관리방안 용역 중간보고회)에 공식 요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양산시민신문

이날 오전 취ㆍ정수장에서 정수과정 등 수돗물 공급과정을 점검한 김 지사는 “경남도민을 포함한 동남권 주민이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시는 것은 권리”라며 “그런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제공하는 것은 정부와 국가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5월 양산 산막산단에 있는 사업장에서 배출된 1,4다이옥산이 양산천을 통해 낙동강 본류로 유출된 후 양산 신도시취수장과 부산 물금취수장에 유입돼 낙동강 표류수를 상수원수로 사용하는 데 대한 불안감이 고조된 바 있다.

1,4다이옥산은 섬유제품이나 합성피혁, 의약품, 화장품, 유기용매 안정제 등 공정에 사용하는 물질로 장기간 다량 노출되면 중추신경계 억제나 신장 또는 간 손상,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다.

ⓒ 양산시민신문

이에 따라 경남도는 오염원에 대한 전수조사와 공공 폐수ㆍ하수처리시설 점검, 정수장 대응능력 강화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지난 16일부터 26일까지 도내 51개 정수장을 긴급 점검한 결과 4개 정수장에서 수중생물 유충 등이 발견됐다. 이 가운데 양산 범어정수장은 현재 가동을 중단한 상태로 신도시정수장에서 수돗물 공급을 대체하고 있다.

김일권 양산시장, 임정섭 양산시의회 의장 등과 함께 정수장을 먼저 찾은 김 지사는 운영 현황을 보고받고, 착수정과 모래여과지, 활성탄여과지, 오존접촉시설 등 정수공정을 직접 점검했다. 이어 취수장으로 이동해 낙동강 상수원수 상황과 관리 실태를 직접 확인했다.

현재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인구는 경남, 부산, 대구, 경북 등 766만명에 이른다. 1991년 페놀 유출과 2004년부터 올해까지 연이어 발생한 미량유해물질 검출 등 끊이지 않는 수질오염 사고를 비롯해 해마다 발생하는 녹조로 인한 수돗물에 대한 안정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