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의원실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20일부터 9월 4일까지 모두 52건의 태양광 피해사례가 집계됐다. 이를 피해지역으로 구분해보면 산지 20건, 농지 12건, 기타 지역 20건이다.
태양광 피해는 집중호우가 쏟아진 지난달 초ㆍ중순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호우가 쏟아진 최근 한 달 사이에 매일 1.1회씩 전국 각지에서 토사 유출, 태양광설비 유실과 침수 피해가 발생한 셈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경남의 피해도 잇달았다. 지난달 8일 산청군 신안면에서는 산비탈에서 토사 유출로 설비 일부가 유실됐고, 합천군 쌍책면에는 설비 일부가 침수됐다. 한국에너지공단이 보고한 경남지역 피해사례만 7건에 달한다.
하지만 윤 의원은 이는 최소한의 피해집계일뿐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주민으로부터 신고를 접수한 경우에만 상황 파악에 나서기 때문에 실제 피해 규모는 더 크다는 것이다.
실제, 제9호 태풍인 ‘마이삭’과 제10호 ‘하이선’으로 인한 피해집계가 아직 다 되지 않았다. 지난 3일 마이삭이 관통한 양산시에서 풍력발전기가 강풍에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에너지공단은 아직 피해사례에 이 건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에너지공단은 “현재 공사 중인 태양광시설에서 발생한 피해는 집계하지 않았다”고 국회에 보고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정부 기관이 소극적으로 태양광 피해 파악에 나서면서 국민의 눈을 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태양광 패널을 깔기 위해서 국토의 70%인 소중한 산림을 무차별적으로 짓밟히고 있는 것”이라며 “탈원전이라는 국가 자해(自害)의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감당하게 생겼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