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의원은 지난 25일 제178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에 나서 “가산산업단지는 사업계획 당시 첨단산업단지 조성을 목적으로 승인받아 전자ㆍ전기ㆍ통신ㆍ자동차 등 저공해 업종만 들어갈 수 있게 해 우리 시와 경남개발공사 또한 의ㆍ생명 관련 업체를 많이 유치해 특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며 “그러나 계획과 달리 민간업체 실수요자 개발방식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 공영개발로 사업방식을 바꾸는 등 여러 사정으로 공사 기간이 늘었고, 사업지 감정평가에서 보상비가 계획보다 32%가량 늘어났으며, 결국 지금은 일반산업단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 지연과 보상비 증가에 따른 분양가 상승으로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이 많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높은 분양가에도 입주를 원하는 업체, 입지를 구하기 어려운 주민 기피시설이 입주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가산산업단지 인근 석ㆍ금산지역은 신도시를 비롯해 3만4천여명이 살고 있으며, 여기에 물금읍 증산신도시와 양주동을 더한다면 우리 시 인구의 3분의 2가 거주하는 곳으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며 “기피시설 입주가 아닌 의료와 우량기업을 유치해 애초 취지에 맞는 산업단지로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개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산마을 내 산단 제척(제외)지역 기반시설에도 관심을 둬 주민 생활이 불편하지 않도록 집행부 공무원들의 관심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