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는 황산마을 내 어린이공원 지하 부지에 132면 규모 공영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사진은 황산어린이공원 모습. |
ⓒ 양산시민신문 |
양산 최초로 어린이공원 지하에 공영주차장을 만드는 ‘황산공영주차장 조성사업’이 이번에는 양산시의회 문턱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16일 열린 제180회 양산시의회 임시회 공유재산관리계획심사 특별위원회(위원장 서진부)에서 황산공영주차장 조성사업이 통과됐다. 지난해 3월 시의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해 한 차례 제동이 걸렸지만, 재도전해 이제 본회의 통과만 남겨뒀다.
황산공영주차장은 범어택지 일대 만성 주차난 해소를 위해 물금읍 범어리 2679-1번지 황산어린이공원 지하에 공영주차장을 만드는 사업이다. 총사업비 90억원을 들여 지하 2층 주차공간 132면을 조성한 후, 지상에 다시 어린이공원을 복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사업은 지난해 3월 양산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심사 특별위원회에서 심의 끝에 부결됐다. 당시 ‘범어택지 내 잔여 필지를 활용해 주차장을 건설할 수 있는 만큼 사업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건축하지 않고 나대지로 남아있는 터를 양산시가 매입해 주차장을 조성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22개 잔여 필지 지주 대다수가 매각 의사가 없고, 그나마 의사를 밝힌 곳도 과도한 금액을 제시해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게 양산시 설명이다. 이에 따라 애초 안이었던 공원 지하 부지가 가장 적합하다는 판단에 다시 한번 공유재산관리계획에 승인을 요청해 특별위원회를 통과했다.
김효진 양산시의원(국민의힘, 물금ㆍ원동)은 “이 사업은 생활SOC로 국비 사업에 선정된 것으로, 애초 황산어린이공원을 시작으로 중부동 중앙어린이공원, 가촌 통새미공원, 동면 금산어린이공원 등에 연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었다”며 “특히, 중부동은 주차난으로 상권이 무너진 대표적 택지인 만큼 (황산공용주차장 조성 후) 사업을 서둘러 달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여전히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박미해 양산시의원(민주당, 비례)은 “다른 지자체 사례를 통해 1면당 예산(6천800만원)을 산출했다고 하지만, 해마다 토목사업비가 달라지는 상황에서 90억원 이상 막대한 예산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막대한 예산에 비해 혜택을 볼 수 있는 주민은 (인근 상가 등) 극히 제한적으로 예산 산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혜림 양산시의원(민주당, 물금ㆍ원동)은 인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에 대한 학습권 침해를 우려했다. 그는 “1년 전 부결 당시 인근 학교 안전문제가 제기됐지만, 다시 추진하는 상황에서 이제까지 학부모들과 간담회 한 번 개최하지 않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양산시는 의회 승인 후 사업이 확정되고 수립 단계에 들어가면 의견수렴을 하겠다고 했지만, 확정 전에 학부모와 학생들 의견을 들어보는 게 합당한 절차”라는 의견을 개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