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에 따르면 사업체를 기준으로 서비스업(79.7%)과 제조업(16.8%)이 전체 산업의 약 95%를 차지한다. 경남도 시ㆍ군과 유사 시ㆍ군ㆍ구도 대체로 서비스업 비중이 높고, 제조업 비중이 그다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의 경우 지역 내 영세 규모 사업장이 일정 부분 존재하고 사업장 대비 고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했다.
양산의 산업구조 분석을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정의한 기술 수준별 분석 기준으로 양산시 전 산업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8년 2개 연도를 분류ㆍ분석한 결과 양산의 기술 수준별 산업은 감소 추세로 조사됐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고도화된 산업기반은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양산시는 “2018년 기준 양산시 기술산업이 중ㆍ고위와 저위 산업 종사자 비중이 26%를 웃도는 것에 초점을 맞춰, 중위 분야 산업 고도화와 인력육성 정책을 우선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지식기반산업별로 살펴본 양산의 산업구조 역시 지식기반산업 전체 비중은 대체로 감소하고 있어 제조업 등 기존 산업을 지식기반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할 전망”이라며 “고위기술산업 육성과 점진적 지식기반산업 전환을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해야 양산시 제2의 성장동력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양산일반산업단지 |
ⓒ 양산시민신문 |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양산의 주력산업은 제조업이다. 양산의 5대 제조업은 고무 및 플라스틱(C22), 금속가공(C25), 자동차 및 트레일러(C30), 기타 기계 및 장비(C29), 식료품(C10) 분야로, 전체 제조업 비중의 65.6%를 차지한다.
최근 제조업 흐름 가운데 금속가공제품(C25)은 종사자는 축소되나 출하액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해당 업종 상승세를 주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동차 및 트레일러(C30) 업종의 경우 사업체 수 감소에도 종사자 수가 늘어나는 고부가가치화도 관측됐다.
양산시는 “최대 산업인 고무 및 플라스틱(C22) 업종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한다”며 “금속가공제품(C25), 자동차 및 트레일러(C30) 업종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식료품(C10)과 같은 영세화나 저부가가치화가 진행되는 업종은 산업고도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현 제조산업에 시급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경남도 육성하는 사업과 인근 시ㆍ군 국책사업을 통해 파생하는 사업 유치 등 변화하는 외부 산업환경도 양산 발전에 성장동력원으로 분석됐다. 경남도 4대 주력산업은 ‘지능형 기계산업’, ‘항공산업’, ‘나노융합부품산업’, ‘항노화바이오산업’이다.
경남도가 추진하는 주력사업 가운데 양산시에서 가장 큰 규모는 나노융합부품산업으로 2013년 종사자 3천819명에서 2018년 기준 4천232명으로 연평균 2% 수준으로 증가했다. 또한, 항공산업도 진주와 사천 등지에 조성한 국가산업단지와 인근 KAI 등 공공기관 입지로 전후방 연계성을 갖춘 기업이 2013~2018년 사이 양산에서 급격히 성장해 경남도 기준 연평균 25%, 양산시 기준 72%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외부요인과 더불어 양산의 산업단지 역할도 중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양산시는 일반산업단지와 농공단지 등 13개 산업단지를 지정해 가동 중이지만, 국가산업단지 부재로 경남도 전체 산업단지 대비 6.3% 수준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3분기 기준 양산시 산업단지 입주업체는 605곳으로, 가동업체는 603개사다. 가동률은 100%에 근접하며, 고용은 2만1천459명, 누적 생산액은 1조3천626억원이다. 산업단지 수가 차지하는 도내 비중이 6.3%인데 비해, 누적 생산은 2.4%, 누적 수출은 1.0%로 현저히 낮은 수준인데, 이는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와 내수 중심 산업단지를 조성했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최근 4년간 양산의 산업단지 입주업체는 2017년 427곳에서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 2020년 3분기를 기준으로 605곳을 기록했고, 고용 인원도 2만1천459명을 기록해 양호하다. 하지만 고용 상승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고용 증가율은 둔화하고 있어 상승추세로 반전할 수 있는 산업단지 중심 고용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양산시는 “공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양산 산업구조를 분석한 결과 고위기술산업 제고를 위한 산업 육성과 인재 고용은 산업 전 분야에 시사점을 남겼다”며 “특히, 최근 성장세에 있는 항공산업 등 제조업을 대상으로 고부가가치 업종을 발굴ㆍ지원하고, 경남도 주력사업으로 추진하는 지원 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양산의 제조업 기반 고도화 등 산업 육성에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산업단지 생산과 수출이 저하하는 부분은 향후 고용감소로 귀결되고, 내수 중심 구조는 성장의 한계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정부의 수출 지원 프로그램과 산단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공간 조성 등 선제적 대응이 다각적으로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