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고도로 성장하고, 생산 기술이 첨단화하면서 사람의 노동은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는 데다, 생산 기술 효율화로 생산성이 급속히 팽창했으나 부익부 빈익빈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기본소득연구회는 이런 문제 해결점을 ‘소득 재분배’에 초점을 맞추고, 그에 대한 방법으로 ‘기본소득’을 연구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방정부 차원에서 ‘기본소득’은 역할과 책임 범위가 너무 넓어, 현재 시행하거나 시행할 필요가 있는 ‘기본수당’ 문제를 연관 있는 사회단체와 함께 고민하기로 했다.
기본소득연구회는 그 시작으로 지난달 28~29일 킨텍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3회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컨퍼런스에 참가해 경기도가 시행하는 각종 기본소득 관련 제도들 돌아보고, 세계 유명 석학들과 국내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학술 세미나를 통해 기본소득의 전반적인 흐름을 연구했다,
이어 5월 3일에는 양산시의회 특별위원회 회의실에서 기본소득에 저명한 강남훈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를 초청해 13개 시민단체와 기본소득 개념을 공유하는 포럼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날 포럼에는 농민수당과 관련한 양산농민회, 생활임금과 관련한 민주노총 양산시지부, 한국노총 양산지부, 웅상노동자협의회, 웅상노동인권연대, 노동복지센터, 가사수당과 관련한 양산아이쿱, 양산YWCA, 청년수당과 관련한 양산YMCA, 양산청년정책위원회, 아동수당과 관련한 양산행복마을학교, 학부모행동 그리고 사회적경제협의회 대표자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