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환경부도 낙동강수계 최남단에 있는 양산시 신도시취수장까지 중간 16개 지점에 염분측정기를 설치해 모니터링 중이며, 수자원공사는 하구통합운영센터 운영을 통해 비상상황 발생 때 비상연락망을 통해 각 지자체에 전파할 계획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앞서 환경부는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총 8회 12시간에 걸쳐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개방했고, 5월 11일부터 11월 7일까지 4회에 걸쳐 52일간 수문을 개방할 계획이다.
양산시에 따르면 낙동강 하굿둑에서 신도시취수장까지 거리는 25km로, 지난달 4일간 수문을 개방한 결과 5km 지점인 서부산낙동대교까지 염분이 올라오는 것으로 파악했다.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면 낙동강 하류 기수생태계 복원으로 생활환경 측면에서는 나아질 수 있으나, 염분이 유입되면 수돗물 생산에는 시설 부식과 수질 기준 초과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양산시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수돗물 생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부에 상수원 피해가 없는 하굿둑 상류 10㎞ 지점까지 기수구역 조성범위 지정을 요청 중”이라며 “염분 모니터링을 철저히 해 먹는 물 안전에 선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