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도시취수장 염분 모니터링 상황 |
양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에 따른 염분 피해 우려에 대해 신도시취수장을 모니터링한 결과 염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기수생태계 복원 초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4월 26일부터 5월 14일까지 대조기 8일간 1차, 6월 22일부터 7월 17일까지 대조기 19일간 2차로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개방했고, 8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대조기 16일간 3차로 개방할 계획이다. 이후 10월 19일부터 11월 7일까지 마지막 4차 개방을 마친 뒤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기수생태계 복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양산시에 따르면 앞선 1~2차 개방 결과 하굿둑에서 상류 10㎞ 지점인 강서낙동강교까지 염분이 소량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굿둑 상류 25㎞ 지점인 양산시 신도시취수장은 염분측정기 모니터링 결과 염분이 검출되지 않아 염분으로 인한 시설 부식과 수질기준 초과 등 우려를 불식했다.
양산시는 “1차와 2차 하굿둑 개방에서 나타난 염분 측정 결과는 취수원에 별다른 피해가 없었지만, 3차와 4차 개방에 대비해 염분 모니터링을 철저히 해 먹는 물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환경부는 취수원에 염분이 유입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낙동강 상류 댐 수문을 개방, 염분에 대한 피해를 예방할 계획이고, 수자원공사도 하구통합운영센터에서 염분과 수질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낙동강 수계 상황을 지자체에 전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