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산시에 있는 한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 엑스선 촬영을 하는 모습. [경남도 제공] |
경남도가 올해 처음 공개된 전국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도내 동물병원 진료비는 전국 대비 평균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만, 시ㆍ군별 평균 진료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항목은 같은 시ㆍ군 내에서도 큰 차이가 났다.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조사는 <수의사법>에 따라 병원 내에 진료비 게시를 의무화한 수의사 2명 이상 동물병원 1천8곳(경남 36곳)을 대상으로,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간 한국소비자연맹과 대한수의사회에서 공동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경남도 동물병원 항목별 평균 비용은 ‘초진비용’ 1만848원(전국 1만840원), ‘개 종합백신’ 2만5천466원(전국 2만5천992원) 등 전국 평균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엑스선 촬영비’는 4만3천533원(전국 3만7천266원)으로, 전국 대비 1.17배 비싼 것으로 확인됐지만, ‘상담료’는 8천916원(전국 1만1천461원), ‘전혈구 검사비’는 3만3천267원(전국 3만 8천202원) 등은 오히려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ㆍ군별 평균 진료비용을 비교하면 항목별로 1.4배에서 2.4배 가격 차이를 보였다. ‘전혈구 검사비’는 밀양시가 4만원으로, 김해시 2만8천800원 대비 1.39배, ‘초진비용’은 진주시가 1만5천667원으로 고성군 6천600원 대비 2.37배 높았다.
이 밖에 같은 시ㆍ군 내에서도 일부 항목에서는 최대 12배까지 가격 차이를 보였다. 가장 큰 편차는 ‘초진비용’으로 진주에서 최소 5천원에서 최대 6만원까지 12배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엑스선 촬영비’가 양산에서 최소 2만원에서 최대 11만원까지 5.5배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초진비용에서 큰 편차가 있는 것은 경남지역 조사 대상 36개 동물병원 가운데 3차 동물 진료기관(진주시에 있는 대학교 동물병원) 1곳이 포함된 것으로, 이를 제외할 경우 가격 편차와 평균 비용은 떨어질 수 있다”며 “엑스선 촬영비 등 일부 항목은 장비 수준이나 숙련도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조사된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동물병원 평균 진료비 편차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업계에서는 “임대료와 보유 장비, 직원 수, 사용 약품 등 병원 규모와 개별 진료 전문성 등을 고려해 진료비를 자율적으로 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은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조사 공개 홈페이지나 농식품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