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올해 북부동 양산주유소 인근에 조성된 공영주차장 전경. 주차장은 텅텅 비어 있지만 주차장 위 이면도로에는 불법 주차차량이 줄지어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시는 지난해부터 구도심 지역 자투리땅을 매입해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북부동 양산주유소 옆 부지면적 954㎡에 32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영노외주차장을 사업비 2억1천7백80만원을 들여 준공하고 운영 중이다.
또한 올해 30억원을 들여 북부동 경남은행 인근 2천380㎡ 부지에 120대 규모의 주차장을 조성키로 하고 최근 부지매입을 완료했으며, 삼호동(1천824㎡)과 덕계동(1천824㎡)에도 65대와 25대 규모의 주차장을 조성하기 위해 해당 부지 지주와 매입을 위한 협의를 마무리하고 있다.
지난 22일 시는 이 밖에 추가 공영주차장 조성을 위한 부지 매입을 위해 시의회에 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시에 따르면 올해 20억원을 들여 북부동 1천299㎡(80대)와 남부동 244㎡(10대), 중부동 417㎡(20대), 상북면 826㎡(40대) 부지에 각각 공영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가 추가로 추진키로 한 4곳 가운데 일부 부지가 적절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남부동에 추진 중인 부지의 경우 공시지가만 9천935만원으로 실제 매입과 부지 조성 비용까지 합하면 2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곳에 주차할 수 있는 자동차 대수는 10대에 불과하다. 이곳은 이미 나대지로 방치된 곳에 인근 주택가의 자동차들이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중부동에 매입 예정된 부지 역시 공시지가만 2억1천여만원으로, 이곳은 기존 건축물이 있어 철거를 통해 주차장으로 활용해야할 형편이다. 부지 조성까지 감안한다면 3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지만 주차대수는 고작 20대에 불과하다.
이렇게 투자 대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자 시의회는 공유재산심의 전에 해당 부지를 직접 현장 방문해 공유재산승인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시의회는 효율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부지 예정지가 주택가 안에 위치해 상권 활성화와는 거리가 멀다는 의견도 내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구도심 지역은 이미 포화상태로 적당한 주차장 부지를 구할 수가 없어 매입이 가능한 소규모 부지라도 우선 매입해 주차장으로 활용키로 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운영 중인 북부동 일대 공영주차장의 경우 32대가 주차할 수 있지만 실제 이용하는 시민들은 많지 않다. 공영주차장에 부과되는 주차요금을 피해 인근 도로에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차장 조성과 함께 실질적인 주정차 관리 대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시가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 공영주차장 조성을 계획하면서 지역별로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시정도 요구되고 있다.
실제 대부분 공영주차장 계획이 중앙동과 웅상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물금지역의 경우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물금 범어주민들은 시가 분할 매각을 추진 중인 시장부지에 대해 공영주차장으로 활용하자는 주장을 내놓았지만 시는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부지매각을 추진하고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