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난해 2차 추경에서 도심 거리 경관을 정비한다는 목적으로 1억5천만원의 벽화사업비를 마련했다. 모두 5곳의 교량 하부 및 도심지 벽면을 각각 3천만원을 들여 도시 미관을 정비하는 벽화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시의회는 올해 당초예산에 벽화사업 용역비 4천만원과 사업비 4억원이 편성된 것에 대해 심의를 벌이던 중 추경에서 5곳이었던 사업 대상지가 7곳으로 늘어나 수의계약이 가능한 2천만원으로 각각 사업이 진행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추경에 편성된 1억5천만원 외에도 주민편익사업비 8천만원이 추가로 지원된 사실도 밝혀졌다. 당시 시의회는 사업 진행이 진행된 7곳 가운데 3곳이 특정업체와 수의계약을 맺었다며 ‘특정업체 봐주기’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의회는 올해 당초예산에 편성된 벽화관련 사업비를 전액 삭감했다.
하지만 시는 올해 추경에 벽화사업비 8억7천만원을 반영하고, 모두 50여개의 옹벽, 교각다리, 벽면 등에 벽화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했다. 또한 풀용역비 가운데 1천만원을 들여 디자인 용역을 의뢰한다는 방침도 세워 시의회에 설명할 예정이었지만, 이 같은 계획이 알려지자 기존 사업의 문제점 해소 없이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시의회의 부정적인 입장이 전해지면서 설명 자체가 보류된 상황이다.
한 시의원은 “이미 추진된 벽화사업에 대해서도 시민들간에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분분한데다 이미 경관사업을 전담할 도시디자인과 신설을 의회가 승인한 마당에 시급성을 요하지 않는 사업을 전담부서가 아닌 부서가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했다.
한편 시 관계자는 “도시디자인과가 신설되는 동시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사전준비작업을 하려는 것일뿐 사업을 강행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기획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