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예산 3천만원을 확보하고 올해 1월 양산캠퍼스 내 첨단산학단지 조성 예정지인 41만2천여㎡에 33만㎡ 규모의 9홀짜리 퍼블릭 골프장을 조성하기 위한 타당성 용역에 들어갔다.
최근 중간보고까지 마친 골프장 조성 계획은 재원 부족으로 첨단산학단지 조성에 어려움을 겪자 부지 활용 방안으로 부산대측이 검토하게 된 것이다.
이미 용역 마무리 단계인 골프장 조성 계획은 다행히 최근 부산, 울산, 경남이 공동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유치하기 위해 협력하면서 양산캠퍼스 내 첨단산학단지 부지를 유치 예정지로 계획하면서 일단 보류됐다는 것이 부산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부산대의 골프장 추진 발상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여론이 만만치 않다.
김아무개(42, 물금 범어)씨는 “지성의 전당인 대학에서 대학 부지를 골프장으로 사용하겠다는 발상을 한 것 자체가 문제”라며 “더구나 대학 부지가 신도시에서 가장 노른자 땅인 주거지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데 어떻게 그런 발상을 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신아무개(36, 중앙동)씨 역시 “양산천 바로 옆에 붙은 부지에 골프장을 조성하겠다니 어처구니가 없다”며 “환자들이 생사를 다투고 있는 병원 옆에 골프장을 지어 ‘회장님, 나이스샷’ 소리를 들으면 좋겠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 같은 반응에 부산대 관계자는 “어려운 재정 여건을 감안해 부지 활용 방안을 고민하던 중 나온 대안 가운데 하나”라며 “현재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가 추진되고 있어 산학단지 부지를 의료복합단지 유치와 병행할 수 있도록 계획이 변경된 상태”라고 전했다.
한편 대학측은 용역 결과에 따르면 캠퍼스 부지 내 골프장 조성이 법적 하자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고,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에 실패할 경우 골프장 조성을 여전히 부지 활용 대안으로 보고 있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여부에 따라 논란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부산대측이 시와 토지공사의 협조를 받아 유리한 조건으로 신도시 부지를 매입해 놓고 시와 사전 협의도 거치지 않은 채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며 “골프장 조성은 도시계획 승인 사항이기 때문에 부산대측이 계획을 추진한다고 해서 일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