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달 31일 입주를 앞둔 소주동 ㅅ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이 업체측에 ‘차별 분양 시정’을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이 곳을 포함해 6월 입주예정인 아파트 단지에서 각종 하자보수와 업체측의 계약 위반 등을 주장하며 입주예정자와 아파트 건설업체간의 갈등이 확산될 조짐이다. |
ⓒ 양산시민신문 |
지난달 31일 소주동에 위치한 ㅅ아파트 입구 앞에서는 입주예정자 50여명이 모여 할인분양으로 인한 차별을 시정해달라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 아파트는 모두 700세대로 6월 입주를 위해 업체측에서 시에 사용승인 허가 신청을 내놓은 상태다. 하지만 입주예정자들은 점검 당시 업체측에 요구한 하자보수 내역들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은 데다 분양기간 동안 미리 계약한 입주자들과 이후 할인분양을 받은 입주자들간의 차별이 시정되지 않았다며 시에 사용승인 보류를 요구하는 것과 동시에 업체측에 개선 방안을 촉구하고 있다.
입주예정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는 ㅅ아파트가 당초 분양원가보다 15% 가량 낮은 금액으로 추가 분양을 실시한 것에 대해 분양가 보전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모두 700세대인 이 아파트는 분양된 400여 세대 가운데 80여 세대가 할인분양 혜택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평산동에 위치한 ㅎ아파트(1천663세대) 역시 입주를 앞두고 할인 분양에 따른 입주예정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 아파트 역시 최초 분양가보다 15~3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추가 분양을 실시해 형평성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
이처럼 할인 분양에 따른 민원이 속출하는 것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오랜 부동산 경기의 침체로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자금 회전을 위해 아파트 업체들이 할인분양을 실시하면서부터다. 양산지역은 신도시 2단계 아파트가 낮은 입주율을 보이면서 할인분양에 가까운 다양한 계약 조건이 제시되는 등 징조를 보여오다 이번 웅상지역 입주에 맞춰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할인분양은 일명 ‘깡통분양’으로 분양가 시세보다 낮은 금액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 시장의 침체로 미분양이 늘어나면서 아파트 업체가 하청업체에게 대금 대신 현물로 아파트 분양권을 지급하면서 자금 압박을 받는 하청업체가 매물을 부동산 시장에 싼 값에 내놓으면서 생기도 있다. 또한 아파트 업체 스스로 할인 분양을 하는 경우도 있다.
아파트가 ‘선분양 후시공’으로 이루어지면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않은 채 건축 사업이 진행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다.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최근처럼 미분양 사태가 길어지게 되면 중소 아파트 건설 업체들이 자금 압박을 받게 돼 부도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웅상지역에 입주 예정인 2곳의 아파트는 ‘할인분양’ 외에 업체 측이 분양 당시 계약 조건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는 입주예정자들의 불만도 터지고 있다.
ㅎ아파트의 경우 계약 당시 초등학교 설립과 국도7호선 우회도로 개설 등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입주를 앞둔 지금까지 사업 추진 여부가 불확실하거나 계획 자체가 무산된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