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주민쉼터 조성 사업이 실적 위주로 진행되면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사진 위는 도로 확장 구간 내에 설치된 웅상 명곡 분수조형물. 사진 아래는 지난 2월 준공 이후 일부 조경수가 말라죽은 호포 주민쉼터 조성 부지. |
ⓒ 양산시민신문 |
시는 지난해 경관분수대, 문화의 거리 조성, 벽천 등 도시경관개선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 사업은 위치 선정이 부적절한데다 투자 예산에 비해 효과가 낮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 2월 시는 동면 가산리 지하철 호포역 부근에 모두 5억5천여만원을 들여 벽천과 쉼터 조성 등을 완공했다. 부산과 양산 경계지점에 상징적인 경관조경을 설치한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이곳 벽천은 사업을 하면서 급수설비를 마련하지 않아 벽천에 사용되는 물을 살수차 등을 통해 공급해야하는 상황이다. 또한 완공된 지 5개월도 지나지 않아 조경용으로 심은 느티나무와 대나무가 고사하는 등 물의를 빚고 있다. 시는 고사된 나무들을 제거하고 가을께나 하자보수에 들어갈 예정이다.
같은 달 웅상 명곡마을 소방파출소 앞 부근에 설치된 소형분수대 역시 위치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5천만원을 들여 설치된 이곳 분수는 국도7호선 바로 곁에 위치해 있어 웅상 분동 이후 관리권이 이양된 국도7호선 구간 확장 계획으로 철거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설치 전에 관련부서들이 협의를 제대로 거치지 않아 발생한 일이다.
또한 하북정지역에 1억2천700여만원을 들여 마련한 주민쉼터 역시 이곳 토지소유자들과 협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업 구간을 축소해 애써 사업을 시행해놓고도 공원 주변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주민들의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문제가 된 조경분야는 이미 시행업체가 하자보수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시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시가 전문가들과 함께 노력하고 있지만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적극적으로 시정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시가 추진하고 있는 벽화, 가로수 식재, 경관 조명 등 각종 도시경관사업에 대해 시의회의 책임론도 불거지고 있다.
시의회가 사업 시행 전에 예산 심의를 통해 예상되는 문제점을 지적해놓고도 결국 예산을 승인하고 나서 뒤늦게 문제점을 지적하는 ‘뒷북’만 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시의원은 “13명의 의원들이 사업 예산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일부 사업에 대해 소홀히 다룰 수 있지만 정작 시의회가 문제를 제기한 사업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예산을 승인하는 것은 후반기 의회가 바로 잡아야 할 숙제”라고 전했다.
높아진 시민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시가 다양한 도시경관사업을 펼치는 일이 시민들의 호응에도 불구하고 예산 낭비로 비쳐지는 모습은 결과적으로 적합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