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가 260억원이 투입되는 영대교 재가설 공사를 진행하면서 교량 인도 폭을 축소해 교통 흐름을 중시한 나머지 보행권 확보에 소홀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시는 지난 2006년 사업비 260억원을 들여 영대교 재가설 공사에 착수했다. 지난 5월 시는 폭 36m, 길이 182m 규모의 6차로 가운데 3차로를 우선 개통한 뒤 옛 영대교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교량 상판 부분 인도는 6m로 설계해놓고, 교동 방면(춘추공원) 지방도와 만나는 부분에 인도를 1~1.5m 가량으로 좁게 설치해 논란을 빚게 된 것.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교량과 기존 인도가 만나는 지점이 서로 맞지 않는데다 대형 차량의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가각정비를 실시하다보니 인도 폭이 다소 줄어들게 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260억원이나 투입되는 대형 교량 공사를 진행하면서 교통 흐름이나 주변 도로 여건 등을 감안하지 않고 설계를 진행했다는 것이 석연치 않다. 이미 지난해 다방교를 재가설하면서 교통 흐름을 위해 인도를 축소해 논란을 빚은 바 있는 시가 자동차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다방교 역시 노화된 교량을 교체하기 위해 31억원을 투자해 교량을 재가설해놓고 당초 2m인 인도 폭을 1m로 축소해 교량 구조를 기형적으로 변형시켰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시는 다방교의 경우 통행량이 많지 않아 교통 흐름을 우선시 했다고 해명했지만 교량 설치 이후 재시공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잃고 있다. 교량 설계 단계에서부터 차량 흐름은 물론 보행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반영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시 관계자는 "현재 영대교 재가설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시점에서 불가피하게 주변 도로 여건과 맞추다보니 일어난 상황"이라며 "줄어든 인도를 3~3.5m 가량 확장해 보행권 확보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