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지역 내 시가지는 태극기 물결로 휩싸였다. 주요 거리와 관공서에는 광복절 전날인 14일부터 태극기가 게양돼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정부의 특별지시와 함께 오근섭 시장이 국경일 태극기 게양을 활성화하라는 지시가 맞물려 각 읍면동에서는 이·통장 회의를 개최해 태극기 게양을 독려하기도 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일부 읍면동이 태극기 게양을 위해 이·통장들에게 무료로 태극기를 나눠주겠다는 내용을 전달해 수백건이 넘는 신청이 읍면동으로 쇄도한 것. 태극기를 없는 시민들에게 무료로 태극기를 나눠주겠다는 발상이었지만 무료 배부는 현행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어 유료로 전환했다.
하지만 이미 태극기를 신청한 시민들은 시가 유료 배부 방침을 새롭게 정하자 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불쾌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광복절 당일 일부 읍면동에서는 공무원들이 오전 7시부터 태극기가 게양되지 않은 집들을 일일이 방문해 태극기 게양을 독려하자 시민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한 시민은 “국경일에 태극기를 다는 것은 시민들의 자율적인 사항이지 관에서 초등학생 가르치듯 관여할 문제는 아니다”라며 “과거 독재시절에서나 볼 수 있었던 시대착오적인 태도”라고 말했다.
또한 공무원 사이에서도 이번 사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내고 있다. 한 공무원은 “공무원이 공익을 위해 앞장서는 것은 좋지만 과잉 충성 경쟁을 벌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전했다.
애국심 고취를 위해 시가 국경일 태극기 게양을 앞장서는 것은 바람직한 취지지만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다소 과도한 업무 추진은 결국 시민들에게 행정력 낭비로 비춰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