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공무원노동조합 양산시지부(지부장 서민수, 이하 시지부)는 지난달 22일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개최된 '공무원ㆍ교원ㆍ공공부문노동자 총궐기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버스를 예약했지만 이를 저지하기 위해 오 시장이 직접 여행사와 접촉, 버스 계약을 해지한 것이 직권남용이라며 반발해왔다.
지난달 24일 전국민주공무원노동조합 경남지역본부 소속 시ㆍ군 지부장들은 오 시장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기자회견을 가지기도 했다.
기자회견에서 시지부는 오 시장의 공개사과를 요구했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조합원 불신임 투표까지 진행하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기자회견 후 전직 공무원노조 지부장들이 오 시장과의 중재에 나서면서 이틀 뒤인 26일 오 시장과 시지부는 '상생의 노사관계 회복을 위한 선언문'을 채택하고, 오 시장이 12월 정례회에서 유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진정 국면에 접어들게 된 것이다.
선언문에서 노사 양측은 노사가 대등한 시정동반자임을 확인하고, 이번 사태에 대해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또한 대립 이후 오 시장이 6급 공무원 조합원 탈퇴를 지시한 것과 관련, 6급 공무원에 대한 조합원 자격을 인정키로 했다.
한편 서울 집회 상경 이후 오 시장은 상경 조합원에 대해 출장 금지, 각종 포상 대상 제외, 복무기강 점검 등의 조치를 내렸지만 선언문 채택 이후 이 같은 지시를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상생 선언문 채택에도 불구하고 공직사회 내부의 갈등이 완전히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여전히 정부는 공무원 노조에 6급 담당주사들이 가입하는 것을 금지하고, 공무원 노조의 활동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자체장이 정부 방침에 따라 노조 활동에 개입하는 일은 앞으로 더 잦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또한 인사, 예산 부서 등 법이 정한 노조 가입 금지 6급 공무원 외에 총괄업무를 담당한 6급 담당주사의 노조 가입 여부는 단체장의 재량에 맡겨진 상태여서 앞으로 새로운 갈등이 시작될 경우 '6급 공무원 노조 가입 여부'를 놓고 또 한 번 논란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6급 공무원은 행정체계 상 '허리'에 해당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면서, 노조 입장에서도 사측과 협상을 벌일 경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머리'에 해당해 노사 모두 양보하기 힘든 사안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