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식 도의원(한나라, 양산2)은 우리나라가 AI 청정국으로 분류되었지만 정작 AI로 고통을 겪고 있는 양계농가들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책과 보상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경남도가 제출한 올해 경남지역 AI 피해 상황에 따르면 지난 5월 AI로 인해 도내에서 살처분된 가금류 144만3천917마리 가운데 양산지역에만 139만5천979마리가 포함되었으며, 피해농가 78호 가운데 양산이 67호로 90% 가까운 피해가 양산지역 양계농가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양산지역의 대다수 양계농가들은 농림부의 살처분보상금, 생계안정자금, 소득안정자금, 농가사료비 등의 보상가 기준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면서 "특히 산란계와 오리는 보상가 산정기준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 시세보다 낮게 보상된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세계적인 경기불황과 고유가로 인한 자재값 인상 등으로 인해 재활에 고통받고 있는 양계농민들에게 국가식량자원 보전차원의 현실성 있는 보상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주장하고, "AI의 좀 더 근본적인 예방과 보상에 대한 경남도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의원은 대량 살처분해 매몰한 가금류가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일대 지하수를 사용하는 주민들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