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무엇보다도 병원과 캠퍼스를 이용하는 환자, 학생, 교직원 등이 이용할 생활편의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양산시, 토지공사, 부산교통공사 등 관련 기관들의 협조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양산캠퍼스는 오는 3월 2일 개강과 함께 학생 1천60명, 교직원 310명 등 모두 1천370명이 생활하게 된다. 또한 지난해 11월 부분 개원한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역시 900여명 직원과 수천명에 달하는 환자와 가족들이 물금 신도시지역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이들에게 필요한 대중교통, 편의시설 등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양산부산대학교병원과 양산캠퍼스 부지 주위에는 병원 개원에 따라 식당과 약국 등이 일부 영업을 시작했을 뿐, 나머지 상권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 또한 남양산 지하철역에서 캠퍼스 부지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이 1개에 불과한데다 배차간격 역시 1시간 가량으로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부산지하철 양산선 역시 지난해 1월 개통했지만 정작 부산대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역은 정주권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부산교통공사가 운영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철 운영 적자를 이유로 부산교통공사는 병원 개원과 캠퍼스 준공 시점 이후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운영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시기조차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식당과 약국 등을 제외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서점, 문구점 등은 양산천 건너 신도시 1단계 지역이나 구도심권으로 나와야 이용할 수 있다. 학생이나 환자, 또는 환자들의 가족 등이 여가 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 PC방, 당구장 등도 찾기가 쉽지 않다.
물론 이러한 시설은 공공기관에서 강제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하지만 수익을 따라 움직이는 민간시설을 유치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먼저 기반시설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부산대 양산캠퍼스 관계자는 "캠퍼스 운영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일부 사업구간에 대한 관리ㆍ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부산대의 노력과 함께 토지공사, 부산교통공사, 양산시 등 관련 기관들이 머리를 맞대고 지하철역 개통, 대중교통 확대 등 대책 마련에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