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부산시청에서는 경남도, 부산시, 울산시, 김해시, 양산시, 진해시 교통담당 공무원들이 '광역 환승제 도입 관계자 회의'를 가지고 인접 도시간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환승할인 도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날 처음으로 가진 실무회의에서 교통담당 공무원들은 날이 갈수록 3개 광역단체 간의 교류가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 편의를 위해 환승할인 도입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인식을 같이 했다. 따라서 앞으로 시스템 도입과 재정 확보 등 실무 협상을 벌이기 위한 실무회의를 매달 진행하는데 합의했다.
양산의 경우 사실상 부산과 밀접한 생활권을 가지고 있지만 환승제도가 없어 요금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많아 민원을 낳아왔다. 하지만 이번에 환승제도 도입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실현 여부와 시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여기에다 지난해 개통한 지하철 양산선으로 부산과의 거리는 더욱 가까워진 상태다.
이러한 시민들의 기대에 부담을 느끼는 듯 시 관계자는 "이제 첫 걸음을 내디뎠을 뿐 앞으로 세부적으로 조율해야할 사항이 많아 다소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미 환승제도를 도입한 서울, 경기 지역의 경우에도 실제 도입까지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전했다. 하지만 "시민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의 입장은 환승제도 도입에서 발생하는 손실분을 보전하기 위해 예산의 배분과 확보에서 각 지자체의 이해관계가 얽혀 쉽게 해결될 사안을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돈' 문제가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풀어야할 숙제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