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가 상북면 대석리, 석계리 일대 420만 규모의 공업단지를 추가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자 공업지역 한 가운데 위치한 구소석마을 주민들이 반발하며 공업지역에서 제외시켜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은 2020 도시기본계획에 신규 공업용지로 지정된 상북면 대석리 구소석마을 전경. |
ⓒ 양산시민신문 |
지난 3월 시는 ‘2020 양산시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상북면 2곳에 추가로 공업용지를 확보하겠다는 시가화예정용지(공업용지) 개발방안 및 기본계획 용역을 완료했다.
용역에 따르면 상북면 상삼, 좌삼, 외석, 내석리 일대 652만6천㎡ 규모의 좌삼지구와 상북면 대석리, 석계리 일대 420만㎡ 규모의 대석지구를 산업단지로 개발하겠다는 것. 시는 이같은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이 지역에 대해 3년간 건축, 토지형질변경 등 각종 개발행위를 제한키로 했다.
문제는 2곳의 공업용지 개발지역에 포함된 자연마을 주민들이 공업용지에서 자신들의 마을을 제외해줄 것을 요청하고 나서면서부터다. 좌삼지구의 경우 좌삼, 외석, 내석마을이 공업용지 한 가운데 포함되어 있다. 또한 대석지구의 경우에도 구소석 마을 등이 공업용지에 포함돼 기본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되면 마을이 사라지게 된다.
주민들은 수대에 걸쳐 생활해온 마을이 공업용지 조성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따라서 마을 주민들은 최근 시와 시의회에 이같은 내용의 진정서를 접수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작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공업용지 지정에 대한 입장이 달라 앞으로 주민들간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토지소유와 해당 지역 내 재산보유 여부 등에 따라 공업용지 조성에 찬성하는 입장도 상당수 있다.
결국 시가 마련한 구상이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또 다른 갈등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공업용지 개발계획은 기본계획일 뿐 구체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며 “주민들의 우려는 시기상조”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시가 마련한 공업용지 확보방안이 구체화되는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예측도 주민들의 동요를 부추기고 있다. 최근 경기침체로 시가 조성 중인 산막산단과 용당산단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추가 공업용지 조성이 순탄치 않으리라는 예상은 시가 개발행위를 제한한 조치가 주민들의 재산권을 제약하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다.
언제 추진될 지 모르는 공업용지 조성 때문에 주민들이 재산권의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걱정은 사업 추진이 장기화될수록 주민들의 반발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