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최근 각 지자체에 오는 9월까지 공공청사 신축을 보류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지난해 10월 현재 청사 뒤편 주차장 부지에 사업비 88억원, 연면적 6천258㎡, 지상 6층 규모로 별관을 신축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하고 올해 상반기 착공을 앞두고 있었다.
또한 분동 이후 웅상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웅상출장소 신축을 2007년 설계를 마치고, 주진동 72-2번지 일대에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착공을 앞두고 있었지만 행안부의 지침으로 보류된 상태.
평산동주민센터도 부지 선정에 난항을 겪다 지난해 10월 평산동 486-2번지 일대에 주민센터를 건립키로 계획 중이었다. 물금읍사무소 역시 신도시 조성 등에 따른 행정수요 증가에 대비해 물금택지개발사업지구 614블럭 2롯트 일원 5천289㎡에 지하 1층, 지상 2층(연면적 2천㎡) 규모로 설계공모까지 마친 상황이지만 착공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이러한 행안부의 방침은 전국 기초단체를 인구 50만명 이내의 일반시와 인구 50만~150만명 가량의 광역시로 재편하겠다는 행정구역개편안이 국회 차원에서 구체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회는 국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를 통해 여야간 입장 차이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국회는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단일안을 마련하고, 개편된 행정구역으로 지방선거를 치루겠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행정구역개편안이 다뤄질 전망이다.
한편 행정구역개편에 대해 원론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각종 선출직의 이해득실과 기존 행정체계에서 기득권을 주장하는 세력이 적지 않아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개편논의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최근 거론되고 있는 행정구역개편 방향에서 양산의 경우 밀양, 창녕과 행정구역을 합친다는 내용의 안이 나와 정부와 국회의 계획대로 개편안이 추진될 것을 감안, 양산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제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