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난 13일부터 22일까지 4개 분야 13개 중점사업, 80개 단위사업에 대한 희망근로 프로젝트 사업 참여 신청자를 접수했다. 시가 배정받은 근로 참여 인원은 모두 1천301명으로 지난 20일 현재 읍ㆍ면ㆍ동을 통해 참여를 신청한 인원은 959명이다. 이 같은 수치는 다른 지자체보다 참여희망자들이 많은 편이지만 참여접수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60대 이상이 381명으로 전체 참여희망자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사업 추진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희망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성과가 남는 생산적 사업을 발굴ㆍ선정하고, 단순 행정보조나 공공기관 대행 업무 등을 지양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하지만 시가 추진 예정인 중점사업을 살펴보면 대부분 기존 공공근로와 큰 차별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시가 추진 중인 4개분야 13개 중점사업은 ▶도로변 자투리땅 활용 등 숲이 어우러진 쉼터 조성 ▶양산천 둔치 '패밀리 로드' 꽃단지 조성 ▶시민 '위드림' 숲길 조성 ▶모기유충 구제사업 ▶상북석계주민쉼터 조성 ▶웅상 명동소류지 산책로 조성 ▶상북면 7대 소하천 정비 ▶동면 개곡마을 소하천 정비 ▶동면 호포마을 소공원 조성 ▶클린경로당 만들기 사업 ▶삼성동 공장 밀집 공업지구 주변 환경정비 ▶강서동 산업단지 환경정비 ▶웅상농공단지, 그린공단 환경정비 등이다. 이 같은 사업 내용은 시가 직접 추진해왔거나 공공근로를 통해 시행한 것과 큰 차별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시는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정부 방침에 따라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 동안 국비 73억1천500만원, 도비 6억8천만원, 시비 8억8천800만원 등 모두 88억8천3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자할 예정이다.
하지만 사업비 대부분을 인건비로 사용하라는 정부 방침에 따라 업무를 추진하다보니 정부의 방침대로 '성과'를 남기는 사업을 발굴하기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준비 기간 자체가 부족한 데다 인건비 중심으로 운영하라는 정부의 방침을 충족시키다 보니 사업 추진에 애로 사항이 많다"며 "하지만 저소득층의 생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일자리 발굴을 통해 사업이 원만히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시는 희망근로 참여자에게 지급되는 임금의 일부를 선불신용카드 형태의 상품권 카드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