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이 지하철 시대를 열었지만 부산교통공사의 일방적인 운영으로 시민의 권리가 제약받는 일이 계속되고 있다.<본지 258호, 2008년 12월 2일자>
지난해 말 부산교통공사는 경영수익사업을 이유로 남양산역 내에 마련된 주차시설을 개인사업자에게 임대했다.
이 과정에서 운영을 위탁받은 개인사업자는 1층 필로티 아래에 설치된 주차공간에 가구백화점 운영을 위한 임시건축시설을 설치하면서 주차장을 폐쇄했다. 이곳 주차공간에는 장애인전용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데다 역사 외곽에 토지공사가 조성한 주차장에서 지하철 출입구가 200여m 떨어져 있어 시민들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장애인전용주차공간 바로 옆에 마련된 승강기는 '그림의 떡'이 된 지 오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역사 앞 도로와 나대지에는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한 차량들로 불법 주ㆍ정차가 일상화됐다. 시는 주차장 폐쇄 이후 역사 주변 주차 질서 확립을 위해 최근 역사 앞 나대지를 임대해 임시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시의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멀쩡한 주차장을 사용하지 못하고 임시주차장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정아무개(38, 물금 범어) 씨는 "남양산역을 이용하면서 주차장이 역사 내에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다"며 "그동안 나대지나 도로에 주차를 하고 지하철을 이용해왔는데 멀쩡한 주차장을 두고 불편함을 감수해야할 이유가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주차장 폐쇄 이후 시의회는 지난해 행정사무감사 기간 중 남양산역을 방문,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부산교통공사측에 복구가 바람직하다는 건의문을 발송하기도 했지만 부산교통공사는 위탁운영된 개인사업자가 해결해야할 문제라며 책임을 회피해 왔다.
지난해 12월 시의회는 다중이용시설의 필수공간이라 할 수 있는 주차장을 영리목적으로 용도를 변경한 것은 공기업의 생명인 공익성을 외면하고 이용객의 권리를 무시한 처사라며 복구를 요청했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주차장 내 설치된 임시건축시설이 그대로 있어 주차장 이용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허강희 의원(한나라, 상ㆍ하북ㆍ동면)은 "시의회가 건의문까지 채택해 원상복구를 촉구했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부산교통공사의 태도는 양산 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양산시 역시 시민 편의를 위해 임시주차장을 마련한 것과는 별도로 정상적인 역사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측은 "시의회 건의문 접수 이후 양산시와 협의를 통해 시설물을 철거하고 주차장을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합의했지만 위탁운영 사업자가 자금 부담 등으로 다소 시일이 늦어진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로 주차장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 지난해 말 경영수익사업을 이유로 폐쇄된 남양산역 주차장. 주차장 내부에는 시민편익을 위한 주차시설임을 공지하는 안내판과 주차시설이 마련되어 있지만 간이시설물 설치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
ⓒ 양산시민신문 |
![]() |
↑↑ 시는 남양산역 역사 앞 나대지를 임대해 임시주차장으로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채 '임기응변'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