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7년 준공과 함께 입주가 시작된 물금신도시 지역 전경. 양산시와 토공이 인수인계를 둘러싸고 실랑이를 벌이는 동안 발생한 행정공백으로 입주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
ⓒ 양산시민신문 |
"제대로 된 기반시설 확보해야"
"원칙 없는 요구, 받아들이기 힘들다"
물금 신도시 내 도시기반시설 인수인계가 차질을 빚으면서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입주자들의 불편도 장기화될 전망이다.
신도시 2-1단계 물금ㆍ동면 일대 230만여㎡ 부지가 지난 2007년 말 준공됐지만 양산시와 토지공사가 도시기반시설 인수인계를 놓고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면서 입주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
양산시와 토공은 2007년말 신도시2-1단계 준공 이후 합동점검반을 편성, 토공이 사업한 구간에 대한 각종 기반시설 인수인계 절차에 착수했다. 양산시는 시설 인수 전에 충분한 문제점을 파악, 토공에 추가 시공을 요청해왔다. 하지만 지난 1년6개월 가량 동안 양산시가 요청한 미흡한 시설의 추가 시공에 대해 토공이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양산시는 토공이 신도시 조성에 필요한 시설을 마련하면서 일부 시설에서 문제점이 드러나 추가로 시공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문제점이 보완되지 않은 시설물을 인수할 경우 이후 추가로 양산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토공이 충분한 시공을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토공은 이미 준공된 지역에 대해 양산시가 지나친 요구를 하고 있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토공에 따르면 양산시가 요구한 사항에 대해 준공 이후 꾸준히 보완해온 결과 200억원이 넘는 예산이 추가로 투입되었고, 현재 시가 추가 요구한 사항에 대해서도 수십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문제는 양산시와 토공의 신경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물금신도시 지역에 입주한 입주민들이 고스란히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도시기반시설 인수인계 차질로 인한 행정공백이 각종 민원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도로와 공원 등 도시기반시설이 준공된 이후에도 토공과 양산시가 관리 책임을 미루면서 일부 기반시설 파손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거나 교통사고 위험에도 불구하고 인근 공사현장을 출입하는 대형차량의 과속, 난폭운전, 신호위반 등에도 부실한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밖에도 신도시 곳곳이 쓰레기투기장으로 변한 지 오래인 데다 컨테이너, 공사자재 야적 등에도 관리ㆍ감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신도시 준공과 함께 마련된 공원, 화장실 등 주민편의시설도 방치돼 사실상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좋은 시설을 인수하기 위한 양산시와 추가 보완이 불가하다는 토공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결국 입주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입주민들은 행정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분한 대책을 마련한 뒤 양산시가 토공과 협상을 벌여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