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노한 스님들 "사찰, 자연공원 해제하라"..
사회

노한 스님들 "사찰, 자연공원 해제하라"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288호 입력 2009/07/07 09:46 수정 2009.07.07 09:53
통도사서 조계종 스님들 공원해제 촉구 결의대회 개최

"사찰은 관광지가 아닌 수행도량" 자연공원법 개선 촉구



↑↑ 지난 2일 통도사 금강계단 앞에서는 전국 조계종 주지 스님 1천500여명이 참석해 정부의 자연공원지정 철회와 문화유산지역 지정을 요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졌다. 스님들은 불교계의 요구에 정부가 책임있는 답변을 내놓지 않을 경우 범불교대회 개최와 전국 사찰 출입 통제, 산문 폐쇄 등 대응 수위를 높여 나갈 방침이다.
ⓒ 양산시민신문

점잖은 스님들이 팔을 높이 올렸다.

지난 2일 통도사 금강계단 앞에서 열린 '사찰경내지를 자연공원(국립ㆍ도립ㆍ군립)에서 해제하기 위한 조계종 전국 본말사주지 결의대회'에 참석한 조계종 스님들은 현 자연공원법이 수행의 공간인 사찰을 먹고 즐기는 관광지로 전락시키고 있다며 개선책을 요구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을 비롯해 조계종 본말사 주지 스님 1천500여명이 참석했다. 스님들은 익숙하지 않은 구호를 팔을 들어 외치며 사찰이 본래 수행의 기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염원했다.

오전 11시 명고와 명종이 울리자 결의대회는 더욱 진지한 분위기로 이어졌다.

총무원장 지관 스님은 법어를 통해 "근대산업화의 허깨비들이 종품과 도장을 훼손한 지 오래"라며 "영리와 편익을 위주로 한 공원관리행정에서 일체중생을 위해 만고에 빛나는 무상복전(無上福田)을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조계종 문화유산지역보전을 위한 추진위원회 위원장 원학 스님은 대회사를 통해 "군사독재정권이 불교의 수행도량인 사찰을 아무런 협의없이 관광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공원을 지정한 지 40년이 지났다"며 "사유재산권 보호와 종교의 자주권 수호를 위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불국사 성타 주지 스님은 "지난 시기 모진 탄압 속에서도 전통문화의 근간을 지켜온 스님들이 산과 사찰에 대한 불교의 자주권을 회복하고 국민들이 민족문화유산의 소중한 가치를 알아갈 수 있는 참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정부의 각성과 결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스님들의 주장이 이어지면서 스님들의 반응은 30℃를 웃도는 뜨거운 더위보다 열기가 뜨거웠다. 마지막으로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보선 스님은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통해 불교계의 요구에 국민적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보선 스님은 "사찰 환경이 국가에 의해 등산로와 야영장이 설치되고, 케이블카 건설 등의 용도로 제공돼 종교활동, 문화유산보존, 자연자원보존에 관한 권리를 침해당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사찰을 공원의 관광지가 아닌 문화유산지역으로 지정ㆍ보전해야 한다"며 국민들의 성원을 요청했다.

결의대회에 참가한 스님들은 결의대회 이후 정부가 불교 규제 법령을 철폐하고 일원화하겠다는 공약을 실천하지 않으면 범불교대회를 여는 것은 물론 전국 사찰 출입 통제, 산문 폐쇄 등 수위를 높여 나갈 것이라며 결의를 다지기도 했다.

한편 불교계는 지난 1967년 <공원법> 제정 이후 정부의 일방적인 공원 지정에 반발해 사찰경내지를 공원지역이 아닌 문화유산지역으로 지정ㆍ운영하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펼쳐오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