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지난달 30일 중앙동주민센터에서 열린 ‘중앙동 분동 추진 계획 주민설명회’에서 참석한 주민들은 시가 추진 중인 중앙동 분동에 대해 공감대를 표시하면서도 구도심 활성화 방안이 우선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날 김흥석 총무과장은 설명을 통해 “신도시 조성으로 인구유입이 가속화되면서 인구 5만명 이상인 중앙동을 분동해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행정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중앙동을 국도35호선을 경계로 구도심지역인 ‘중앙동’과 신도시지역인 ‘양주동(가칭)’으로 분동하기 위한 행정절차에 착수한 것. 중앙동은 7월 말 기준으로 5천673세대, 1만2천842명이며, 양주동은 1만1천956세대, 3만7천712명으로 나뉘게 된다.
시는 주민설명회 이후 이달 중으로 분동과 관련한 조례를 시의회에 보고하고 심의를 받게 된다. 시의회가 관련조례를 승인하는 대로 시는 내년 1월까지 청사 개청과 행정인원 배치 등을 비롯한 분동을 위한 행정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의 계획에 대해 주민들은 구도심에 대한 근본적인 활성화 대책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참석한 주민들은 분동으로 기존 구도심지역이 그동안 양산의 중심이었다는 자부심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분동에 앞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참석자는 “시가 분동을 추진하면서 내년 3월에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고 했는데 이는 선후가 뒤바뀐 것”이라며 “이미 3년전부터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뚜렷한 대책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러한 구도심지역 주민들의 불안은 분동 경계구역 획정에 있어서도 시가 설명한 국도35호선 경계로 구도심과 신도시지역을 나눌 때 종합운동장을 구도심지역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구도심지역이 양산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중심지였다는 점에서 종합운동장을 구도심지역 행정구역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은 구도심지역이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가지고 있다는 반증인 셈이다.
구도심지역 주민들은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양산초등학교가 현재 학생 수 부족으로 폐교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점과 신도시지역으로 이전한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가 방치되어 있다는 점 등을 거론하며 구도심 활성화 대책이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체육대회를 개최해도 구도심지역은 선수가 부족해 대회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라며 “분동 이후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혜택을 먼저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가 추진하고 있는 분동이 시민들의 편의를 위한 것이 아니라 행정편의적인 발상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분동은 인구 증가에 따른 행정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제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분동을 놓고 구도심과 신도시지역 주민 간의 미묘한 입장 차이도 이번 설명회에서 드러났다. 구도심지역 주민들은 분동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구도심 활성화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며 신중론을 제기했지만 신도시지역 주민들은 행정구역 분동과 함께 소방ㆍ치안 등 관련기관의 보완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내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기도 했다.
시는 이번 설명회에서 나온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관련 조례 개정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주민들이 요구한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예산 확보 이전에 우선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