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시립도서관 운영 ‘설왕설래’..
사회

시립도서관 운영 ‘설왕설래’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305호 입력 2009/11/10 09:52 수정 2009.11.10 09:52
시의회 “직영으로 정책 책임성 강화 필요”

시 “총액인건비제에 따라 공단 위탁 현실적”



↑↑ 내년 5월 개관을 앞두고 한창 공사 진행 중인 시립도서관 전경. 개관 이후 시 직영이냐, 공단 위탁이냐는 운영방안을 놓고 시와 시의회가 이견을 보이면서 그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내년 5월 개관 예정인 시립도서관 운영 방안을 놓고 시와 시의회가 이견을 보이면서 시립도서관 운영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시의회는 시립도서관이 단순한 도서관이 아니라 양산지역 도서관 정책을 좌우할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시 직영으로 책임성을 강화해 ‘책 읽는 도시 양산’을 만드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는 ‘총액인건비제’에 묶여 공무원 증원이 어려운 상황에서 직영 체제를 가져가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시의회는 제107회 임시회에서 시립도서관 운영 방안을 논의한 결과 시 직영 체제로 추진할 것을 결정했다.

시의회에 따르면 시립도서관이 지역대표 도서관으로 지역 내 학교도서관, 작은도서관, 문고, 전문도서관 등을 아우르는 도서관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들 도서관 간의 도서ㆍ정보ㆍ프로그램 공유 등을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책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공단 위탁보다는 직영 운영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의회의 입장에 대해 시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이명박 정부가 ‘작은 정부’를 표방하면서 공무원 정원 축소를 검토하고 있는 마당에 총액인건비제 도입으로 인해 공무원 정원을 늘이기 힘들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물론 시는 공단 위탁 운영을 통해 도서관 운영의 전문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우고 있지만 속내는 다른 부서에서 공무원을 조정해야 한다는 부담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시립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인원은 모두 19명으로 판단하고 있다. 직영일 경우 현재 웅상도서관에 파견근무 중인 사서직을 포함, 모두 4명의 사서직 공무원이 시립도서관으로 이동하고 사서ㆍ행정ㆍ전산ㆍ기능직 모두 15명의 공무원이 추가로 증원되야 한다. 총액인건비제로 증원이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조직에 있던 공무원을 조정하는 일이 불가피해진다.

시는 시의회 논의에도 불구하고 오는 12월 정례회까지 공단 위탁 여부를 결정할 도서관 조례 개정에 착수, 시의회 심의를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직영과 위탁을 둘러싼 시와 시의회의 논란은 오는 12월 정례회에서 관련 조례 승인을 놓고 한바탕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시설관리공단 출범 이전부터 ‘웅상도서관’ 위탁 문제를 놓고 시의회와 시는 입장을 달리한 바 있다. 당시에도 시의회는 도서관 정책의 중요성을 지적하며 시 직영을 주장하기도 했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웅상도서관을 공단 위탁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직접적인 논란에 됐던 사서직에 대해서는 ‘공단 파견 근무’라는 절충점을 찾았지만 여전히 도서관 업무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한편 시립도서관은 사업비 141억4천900만원을 투입해 물금읍 가촌리 일대 1만6천735㎡ 부지에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로 건립 중이며, 지난 2007년 12월 착공했다. 시는 내년 3월 건물 준공 이후 운영 방안에 따라 개관에 따른 준비과정을 마치고 내년 5월 개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