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지역에 설치된 유산폐기물매립장(왼쪽)과 자원회수시설(오른쪽). 2곳 모두 양산지역에서 발생된 생활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 시설이지만 남아 도는 용량으로 유지ㆍ관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너무 좋은 시설을 가지고 있어도 고민입니다”
양산시가 각종 생활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마련해놓고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인구 50만을 예상해 설치한 유산폐기물매립장과 자원회수시설이 예상보다 인구 증가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고, 쓰레기 발생량이 줄어들어 쓰레기 처리 용량이 남아돌면서 시설 유지를 위한 관리비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의 경우 쓰레기 처리 시설이 부족해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남아도는 처리 시설
현재 양산지역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시설은 유산동에 있는 유산폐기물매립장과 동면 석산리에 위치한 자원회수시설이다.
유산폐기물매립장은 지난 1994년 조성에 들어가 1995년부터 쓰레기를 반입하기 시작했다. 매립용량은 모두 32만8천여㎥로 현재 10만9천여㎥의 쓰레기가 반입돼 34% 가량이 매립됐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자원회수시설이 가동되면서 유산폐기물매립장에는 일일 10톤 규모의 노면청소차량 수집 쓰레기와 불연성폐기물만이 매립되고 있어 사실상 운영이 중단된 상태.
매립 대신 소각을 위해 설치된 자원회수시설 역시 일일 100톤을 처리할 수 있는 열분해용융시설 2기가 설치되었지만 쓰레기 반입량이 일일 80~90톤에 그쳐 교대로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관리ㆍ유지 문제 ‘골머리’
이런 가운데 자원회수시설 운영을 위한 관리비가 크게 상승하면서 유산폐기물매립장을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소각장에 사용되는 연료인 코크스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자원회수시설 운영비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김일권 의원(무소속, 중앙ㆍ삼성ㆍ강서)은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이같은 문제를 지적하고 처리용량이 남아도는 2곳 가운데 관리비용이 적게 투입되는 유산매립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김 의원은 연료비 상승으로 관리비용이 증가한 자원회수시설 대신 유산쓰레기매립장에 쓰레기를 매입하는 것이 예산 절감 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한 것. 하지만 운영 중인 시설의 사용을 중단할 수 없다는 것이 시의 고민이다.
이에 시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 등을 유산매립장에 매립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생활쓰레기처리장으로 허가받은 유산폐기물매립장에 건설폐기물을 매립하는 것이 사업목적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환경부가 승인하지 않아 또 다시 고민에 빠지게 됐다.
시는 침출수 유출을 막기 위해 설치한 차수재 보호를 위해서라도 일정량 이상의 쓰레기 매입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건설폐기물 매립이라는 묘책을 생각했다. 그러나 상급기관의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원회수시설과 유산폐기물매립장 유지ㆍ관리 모두 난감한 상황으로 치닫게 된 셈이다.
시설 활용 놓고 ‘전전긍긍’
시는 이처럼 훌륭한 쓰레기처리시설을 2곳이나 마련해놓고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한 모습이다.
유산폐기물매립장의 경우 양산이 급격한 성장을 보이자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것을 우려해 설치가 추진되었다. 하지만 신도시 계획이 수립되면서 자원회수시설 설치가 함께 진행되어 유산폐기물매립장과 자원회수시설에 반입될 쓰레기량 예측에 문제가 생기게 됐다.
무엇보다 신도시 조성으로 인해 인구 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인구 유입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된 것이 1차적인 원인이다.
또한 생활양식의 변화로 시민들의 쓰레기 재활용률이 예상보다 향상되면서 처리해야할 생활쓰레기가 크게 감소한 것 역시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당초 시가 계획했던 쓰레기 발생량이 밑돌고 있는 상황에서 시설 운영의 묘책이 필요하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황인 셈이다.
시 관계자는 “좋은 시설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앞으로 도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인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단기적으로 두 시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 중”이라고 전했다.